E=mc2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민희 옮김, 한창우 감수 / 생각의나무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1. 과거

텔레비전을 켜자 상대성이론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한창이다. 에너지와 질량, 빛의 속도와 이에 관련된 실험들. 그리고 우주와 중력에 이르기까지 조금은 난해한 내용이지만 쉬 눈을 땔 수가 없다.

나는 방송이 끝난 뒤에도 한참을 텔레비전 앞에 앉아 있다. 머릿속에 떠도는 상대성이론을 정리하기 위해 미간을 찌푸리며 안간힘을 써보지만 여전히 남는 ‘2%’의 부족함을 어찌할 수가 없다.
다음날, 인터넷 서점에서 E=MC2에 대한 책을 주문한다. 오래전에 눈도장을 찍어놓고 차일피일 미루어 온 책을 주문한다.


2. 현재

부스스한 머리를 한 촌부의 모습이나 카메라를 보며 장난스럽게 혀를 내뱉은 익살스런 모습의 과학자, 아인슈타인.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공식이 되어버린 E=mc2.
오늘아침, 11000Kg의 무게로 65Km/h로 돌진하는 버스 안에서 아인슈타인에 의해 재조명된 에너지의 이야기를 펼쳐든다.

마치 E=MC2라는 뿌리에서 뻗어져 나온 거대한 ‘트리’(나뭇가지형상의 그려진 그림)를 보는 것 같다. 단세포생물에서 유인원을 거쳐 오늘날의 인류로 진화된 것처럼, 단순해 보이는 공식에서 빛과 에너지, 지구와 우주로 그 응용범위를 넓혀가는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물론 과학이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만 발전된 것은 아니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 출발한 ‘에너지’의 혁명은 수많은 과학자와 냉전의 시대를 거치면서 결국 원자폭탄으로 실현되어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했지만 과학은 다시 그 순수한 정신을 찾아 스스로의 뻗어나가기 시작한다.


2.5. 시간과 공간

쉽게 설명한 상대성이론이라고는 하지만 그리 만만한 책은 아니다. 수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다양한 학설과 이론으로 진화해 온 E=mc2(상대성이론)은 과학적 기초지식이 부족한 일반인이 보기에는 조금 벅찬 것도 사실이다.
책의 초반부에 상대성이론의 기초지식으로 설명한 E(에너지), =(등호), m(질량), c(빛의 속도), 2(제곱) 부분은 수학적 지식이 없더라도 쉽게 읽혀지지만 좀더 전문적인 내용(실험이라든가 발명)에서는 책의 속도를 따라잡기 힘들었다. 더욱이 원자폭탄 제조를 위한 과학적 연구와 실험에서는 일부 단락을 제외하고는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2차대전 중, E=mc2을 이용하여 원자폭탄을 만들려는 독일과 이를 저지하려는 연합국의 작전은 영화속 장면처럼 흥미진진했다. 또한 히로시마 상공에서 투하되는 원자폭탄을 눈앞에서 보는 것 같은 생생한 묘사도 기억에 남는다.


3. 미래

책표지 뒷면에는 70회 생일을 맞은 아인슈타인과 이때 모인 과학자들의 사진이 실려 있다. 당대 최고의 지성들이 양손을 모으고 겸손하게 서있는 모습이 인상 깊다.
어쩌면 과학도 이런 겸손한 마음가짐에서 시작되어야할 것 같다. 자연과 인간을 먼저 생각하고 미래의 첫 단추를 끼운다는 조심스런 마음가짐으로 연구하고 활용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