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거짓말 창비청소년문학 22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일을 준비하던 천지가, 오늘 죽었다.”
  조용하고 착하기만 하던 천지가 갑자가 자살했다. 만지는 동생의 자살한 이유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자신과 가족의 모습을 되돌아보고 천지를 오랫동안 왕따 시켜왔던 화연의 이야기를 통해 천지가 어떻게 죽어갔는지 추리한다.

 

  학교가, 사회가 그런지 몰라도 청소년의 자살을 소재로 다룬 책들이 제법 있다. 그 중에서 이금이 님의 <유진과 유진>, 이경해 님의 <어느날 내가 죽었습니다>를 읽어 봤는데 청소년 권장도서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데다 상당히 인기를 얻은 책이라 읽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우아한 거짓말>은 자살 뒤에 감추어진 '학교폭력'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누구 한사람의 문제라고 보다는 가중되는 학업과 가정에서의 폭력, 사회적인 무관심들이 모여 만들어낸 거대한 사회문제처럼 보였다. 
  학교폭력은 은따, 왕따, 빵셔틀과 같은 은어들이 코미디에 소재가 될 만큼 보편적이고 익숙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우리 사회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 문제를 풀려고 시도했다. 인성교육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고 학교폭력에 대한 교육과 처벌을 강화했다.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하려 했고 청소년 심리를 들여다보거나 학교의 일상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등을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하지만 어느 한 분야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가면서 문제가 장기화되고 이제는 점차 만성적인 사회문제가 되어버렸다. 우리는 이제 학교폭력에 무감각해졌고 자신이나 가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면 바쁜 일상의 한 뉴스 토막 정도로 흘려버릴 정도로 일상화되었다. 그래서일까 <우아한 거짓말>은 학교폭력의 직접적인 가해자뿐만 아니라 가정과 이웃, 사회 모두가 암묵적 공범일 수 있다는, 지극히 당연한 사실을 되새기게 한다.

 

  폭력은 어떤 이유에서든 정당화될 수 없다. 폭력을 아무리 그럴듯하게 설명한다 해도 결국에는 가해자 자신과 부조리한 사회가 만들어낸 거짓말일 뿐이다. 천지의 죽음은 내일을 준비하는 우리 사회의 죽음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