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랑가족
공선옥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선옥’이라는 작가에 대해 잘 몰랐기에 쉬 손에 잡히지 않던 책이었다. 그러다 독서토론회를 한다는 광고와 이 책을 설명해놓은 문구에 호기심이 동해 진열된 책을 골라들었다.

소외된 이웃들의 이야기를 연작형식으로 담아놓았다. 농촌과 도시를 오가며 펼쳐지는 비주류계층의 인생이랄까...
하지만 각 단편들은 ‘연작을 위한 연작’들처럼 억지스러워 보인다. 연작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기 위한 급조된 듯한 우연이나 소설가의 작위적 설정 등이 소설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 같다. 이런 진솔한 이야기를 다루는 데는 지나치게 도식적인 형식은 아닐는지.
그래서 우리 사회의 이면에 숨겨진 아픔이나 삶의 애환이 잘 표현되지 못하고 겉도는 듯 보인다. 인물설정과 배경묘사가 특정 형식을 그대로 답습해놓은 정형화된 단막극처럼 느껴진다.

아니면, 그들의 입장에 서보지 않았기에 느껴지는 나만의 이질감인가? 책을 소개한 문구에서 봤던 “겪어보지 않고서는 표현할 수 없는, 아무런 희망도 없이 살아가는 그들을 잘 그려놓은” 작품이라고는 하지만 일반적인 가정에서 나고 자란 나에게 ‘소설’ 이상의 의미로는 와 닿지 않는다.
어쩌면, 난 그들의 색다른 경험과 이야기에 웃고 우는 일회성의 관객은 아닐는지. 막이 내리고 공연이 끝나면 그들은 또다시 다른 곳으로 유랑을 떠날 것이고, 무심한 관객이었던 나는 일상으로 돌아와 평소대로 살아갈 것처럼...

난, 번잡한 일상에서 타인의 일상까지 보듬을 여유를 잃어버린 걸까. 아니면 현실의 수레바퀴에 갇혀 더 넓은 세계를 보지 못하는 걸까. 무감각하게 책을 읽는 내 모습과 이 글을 적고 있는 나, 그리고 지금을 살아가는 나 사이에서 설명하기 힘든 혼란스러움을 느낀다.
나는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 걸까...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