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인간 - 전2권 세트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닭갈비와 양배추를 적당히 섞어 지글지글 뽁아 먹는 그 맛, 그리고 소주한잔... 은은한 달빛 아래서 맘 편한 친구와 술잔을 기울이고 싶다.
하지만 오늘은 아쉬운 대로 <장외인간>이나 읽으며 허기진 가슴을 채우련다.

달과 함께 사라진 소녀와 우연히 만난 범상치 않은 노인, 그리고 ‘금불알’이라는 닭갈비집을 운영하는 시인지망생을 중심으로 ‘달 실종 사건’을 맛깔스럽게 그려놓는다. ‘달’과 ‘닭’의 한판 명승부전이랄까.
서머셋 몸의 <달과 6펜스>처럼 ‘달’은 도시의 삭막함에 의해 사라져버린 정신적 가치, 예를 들면 이상이나 꿈, 낭만을 대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달 따위에 신경 쓰기보다는 먹고 싸는, ‘닭’과 같은 물질적인 가치에만 집착하고 있다. 땅에 발을 딛고 사는 우리들인지라 현실적인 문제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지만 어느 정도는 정신적인 부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 말이다.
결국 시인지망생 이헌수는 정신병원으로 들어가 스스로 ‘장외인간’이길 자처한다.
“내게는 바깥세상이 개방정신병원이다. 정체성과 가치관을 상실해 버린 정신병자들이 자신을 정상인으로 착각하면서 살아가는 아수라장이다. 온갖 부조리와 흉악범이 난무하는 저 동물의 왕국에서 정상인이라면 어떻게 태연자약하게 살아갈 수가 있겠는가. 그러니까 내게는 퇴원수속이 곧 입원수속이나 다름이 없다.” (2권, p171)

하지만 후반부에는 조금 당황스러울 정도로 분위기가 바뀐다. 현실의 이야기에서 갑자기 가상의 세계로, 논픽션에서 픽션으로 순식간에 넘어가는 느낌이랄까. 포장마차에서 닭갈비를 먹고 있다가 일순간에 달빛아래, 선계로 이동해 버린 듯 얼떨떨하기만 하다.
하지만 그의 문학적 특성에서 볼 때 그리 엉뚱한 것만은 아니다. 도(道)와 술(酒), 백발의 노인, 일상의 소소함과 대비해서 엮어놓는 형이상학적인 내용이나 무릉도원과도 같은 이상향으로의 귀환 등 외수님만의 독특한 색깔이 그대로 담겨있다. 그래서 약간은 식상하게 느낄 수도 있지만 그보다는 옛 외수님을 되찾은 듯한 생각에 반가움이 앞선다. 최근 작품들에서 봤던 밍밍한 이야기가 아니라 초기의 작품들처럼 강하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이 다시 전해지는 것 같다. 세상에 불평불만을 늘어놓는 투정꾼에서 좀더 넓은 마음으로 세상을 지켜볼 수 있는 여유가 보인다고 할까.
아무튼 근작들에 비해선 상당히, 외수다운 외수책!

술도 좋지만 우선은 커다란 보름달부터 보고 싶다.
설사, 구름에 가려 그 존재마저 희미하더라도
달은 여전히 은은한 빛으로 세상을 보듬고 있다.
기다리련다. 둥근 달이 차오를 때까지...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