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째 아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이비드와 결혼한 헤리엇은 하나, 둘 아이를 낳아 기르면서 행복한 삶을 누렸다. 하지만 다섯째 아이, 벤이 나오면서 그들의 삶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벤은 어딘지 모르게 이상하고 위협적인, 괴력을 가지고 있는데다 폭력성까지 강해 일반적인 아이와는 확연히 틀렸다. 그래서 헤리엇 부부는 벤에게서 한시도 눈을 땔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네 명의 자식에게 소홀해지면서 가족 간의 웃음도 사라졌다. 

  이를 보다 못한 남편 데이비드는 벤을 보호시설로 보내버리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헤리엇이 약물에 취한 채 구속복에 결박되어 죽어가던 벤을 다시 집으로 데려온다. 벤의 귀환은 가족의 행복을 다시 앗아가 버렸고 헤리엇과 벤을 제외한 가족은 점점 가족의 테두리를 벗어나기 시작한다. 

 

  평화롭던 가정에 태어난 괴물 같은 아이, 벤의 이미지는 소설을 괴기스럽게 몰아가고 급기야 호러 영화처럼 보이게도 했다. 하지만 소설을 읽다보니 단순한 괴물 이야기가 아니라 그 존재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이 더 큰 문제가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다.

  <다섯째 아이>는 어쩌면 세상 다수의 일반적인 시각과는 다른, '다섯째 시선'을 말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거대한 조직 속에서 기존의 생각이나 행동이 다를 경우 주변의 따가운 시선은 각오해야 한다. 독창적인 존재의 가치는 무시된 체 집단의 편의와 이기심으로 인해 그 존재 가치는 폄하되고 왜곡되어 왔다. 

  결국 기존의 첫째, 둘째, 셋째, 넷째 질서는 마지막 다섯째 변화를 거부해 버렸고 이는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점점 외톨이로, 나아가 '사회적 괴물'로 만들어 버렸다.

 

  하루도 끊이질 않는 사건사고를 보면 이런 우려가 현실이 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천안함과 세월호 사건만 보더라도 집단 이기주의와 여론몰이를 통해 소수 의견이 무시되고 왜곡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우리 사는 아직도 사건에 대한 정확한 진실은 외면한 체 집단의 이익을 위해 특정 존재와 가치를 부정하고 왜곡하는 일이 너무 많다.

  <다섯째 아이>는 가족이라는 작은 사회를 통해 우리가 갖고 있는 집단 이기심을 보여주는 것 같다. 소수의 의견과 가치도 존중될 수 있는 사회를 기다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