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나도 소심하고 예민해 사람들과의 관계마저도 무서워했던 요조는 이런 자신을 감추기 위해 더욱 유쾌한 척 생활한다. 하지만 여러 사람과 섞일 수 밖에 없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곱상하게 생긴 외모로 인해 많은 여자들이 얽히면서 그의 삶은 서서히 침몰해갔다. 쉽게 말해 '실격'해버린 인간이었던 것.
  그의 입장에서 본다면 세상은 도전하고 정복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회피하고 숨어버려야 할 두려움 그 자체였다.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방인의 모습이면서 동시에 세상에 순화될 수 없는 순수함이 있었던 요조는 이런 모습의 자신을 아무렇게나 내던져버렸다. 자기혐오의 극을 향해 내달리며 자신을 '실격'시켜 버렸던 것.

  다섯 번의 자살 시도 끝에 서른아홉 살에 자살에 성공한 저자(다자이 오사무)의 삶이 곳곳에 녹아 있는 것 같다. 부유한 집안에 태어났지만 이질적인 주변 환경과 공산주의 체험, 약물 중독으로인해 방황했던 그를 느끼게 된다. 그는 <인간 실격>을 통해 현실 사회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했던 자신을 질타하면서 곧 닥쳐올 자신의 운명을 예견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요조와 다자이 오사무가 스스로의 생명까지도 던져버릴만큼 이 세상이 두려운 존재였던가 반문하게 된다. 당시의 환경과 시대 상황을 직접 겪어볼 수는 없었기에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그렇다고 자살이 정당화 될 수는 없지 싶다. 어쩌면 인간만이 저지르는 가장 무모하고 비겁한 행동이 아닐까.
  간혹 '너무 순수한 나머지 자살했다'는 식의 말로 합리화시키려 하지만 이는 세상에 자신을 단련시키질 못한 자신과 그 가족의 책임이 제일 크다고 하겠다.


  책과 저자의 삶에 녹아든 허무주의가 내 삶에 영향을 끼칠까 두렵다. 그래서 이런 부류의 책은 가끔씩, 아주 가끔씩 읽어야겠다. 삶 자체가 너무 잘 나가는 것 같다거나 행복에 겨워 어찌할 줄 모르는 상황, 아니면 인생을 진정시켜줄 약간의 브레이크가 필요할 때 읽어야 할 '진정제' 혹은 '각성제'로서 말이다.

  투박한 번역이지만 우리가 살아가야할 삶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꺼리를 던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