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2
정유정 지음 / 비룡소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2007)는 <내 심장을 쏴라>(2009), <7년의 밤>(2011)를 통해 강열한 인상을 심어줬던 정유정 님의 대표작으로 그녀의 이름이 대중에게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된 작품이다. 유명세를 탄 하나의 작품을 통해 이전 작품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처럼 나 역시도 연거푸 베스트셀러가 된 두 편의 소설을 읽은 후 이 책을 본 경우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이전 작품들과 비교하지 않을 수 없었다.

   도피중인 친구의 형에게 도피자금을 전달해 주기 위해 떠나는 준호는 어머니의 속박에서 벗어나려 가출한 승주와 아버지의 폭력을 피해 도망쳐온 정아, 그녀 집에서 기르던 개, 루즈벨트, 그리고 정체불명의 할아버지와 '우연히' 동행하게 된다. 하지만 서로 다른 목적으로 참여한 여행인지라 그리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불신과 갈등의 골은 깊어지고 가볍게만 생각했던 여행길은 어느새 고행길이 되었다. 그나마 이들을 중재하고 나선 할아버지가 있었기에 어려운 고비를 그럭저럭 넘기기는 했지만...

   스피디한 구성과 치밀한 스토리를 선보인 정유정 작가의 최근작을 미리 접한 나에게는 기대했던 것에 비해 조금은 어설픈 느낌이었다. 일단 주인공 준호와 함께 친구들의 여행 동기가 영 마음에 걸렸다. 책 곳곳에서 이번 여행에 동참할 수밖에 없었던 각자의 사연들을 설명하고는 있지만 뭔가 부족한 느낌이었다. 가출이나 폭력과 같은 개인적인 이유는 납득이 되지만 다양한 갈등 상황을 무릅쓰며, 그리 친하지도 않는 사람들과 뒤섞여 함께 여행한다는 설정이 조금 작위적으로 느껴졌다.
   또한 할아버지의 사연도 뜬금없기는 마찬가지. 전도유망한 고래잡이 선원의 우발적인 살인이나 어렵게 키운 딸을 잃는다는 설정, 삼청교육대를 거쳐 정신병원까지 가게 된 사연 등이 막장 드라마의 이야기처럼 비현실적으로 보였다.
   그리고 소설의 배경이 되고 있는 1980년대 광주민주항쟁과 그 이후의 여러 민주화 운동들이 너무 형식적으로 삽입된 것은 아닌지 의아했다. 민주화 운동이라는 거대한 소용돌이는 준호의 좌충우돌 여행과는 무관해 보였다. '재미'와 '의미'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쫓으려다 모두 놓쳐버린 것 같이 허탈했다.

   <내 심장을 쏴라>, <7년의 밤>을 워낙 재밌게 읽어서인지 기대만큼은 아니었다. 하지만 바꿔 생각해보면 이 작품 이후로 그녀 작품이 일취월장했다는 의미로도 설명할 수 있겠다. 사건은 치밀해지고 인물은 더욱 복잡해지면서 정유정 님의 인기도 높아졌고 마니아층도 깊어졌다. 최근에는 <28>(2013)을 통해 또다시 '정유정 신드룸'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내가 정작 열광하는 것은 2년 정도의 주기로 계속해서 소설을 발표하고 있는 그녀의 성실성!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타성에 젓지 말고 오래도록 장수할 수 있는 소설가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