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의 궁금증을 풀기 위해 출가를 결심한 싯다르타는 사문(탁발승)을 따라 수행하던 중 위대한 성인 고타마를 만난다. 하지만 “해탈은 가르침을 통하여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p55)는 생각에 그의 제자가 되기를 거부하고 홀로 수행의 길로 나서 깨달음을 얻는다.
  자만심에 도취된 싯타르타는 아름다운 여인 카말라를 통해 사랑의 쾌락을 맛보고는 거상 카마스와미를 통해 돈의 달콤함을 빠져든다. 또한 술과 도박에 취해 세속적인 욕망에 점점 물들어갔다. 하지만 꿈에 나타난 죽은 새를 통해 다시 구도의 길을 떠나게 되고, 강을 통해 세상을 관조하던 뱃사공 바주데바, 옛 연인 카말라 사이에서 낳은 아들, 옛날에 함께 수행했던 친구 고빈다와의 만남을 통해 궁극의 깨달음에 도달한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 <싯다르타>는 예수(기독교), 마호메트(이슬람)와 함께 3대 성인이라 불리는 석가(불교)의 이야기로 왕족의 신분이었지만 뜻한 바가 있어 출가해 온갖 어려움을 뚫고 깨달음에 이른다는 기존의 석사 이야기와는 그 방향이 조금 다르다. 오히려 깨달음 이후의 집착과 고뇌, 방황을 통해 그의 인간적인 모습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싯다르타가 낳은 아들을 통해 자신의 부모님을 생각하는 부분이 인상 깊다. 싯다르타의 생각과는 달리 막무가내로 행동하는 자신의 아들을 보면서 인생의 의미를 찾아 도망치듯 떠나왔던 자신의 모습이 떠올렸던 것. 출가를 결행했던 싯다르타를 두고 그의 부모님 역시 얼마나 많은 걱정을 했을까 깨닫는다.
  자식 때문에 고민하는 모습이나 자신 때문에 고생했을 부모님을 생각하는 모습에서 ‘성인’이라는 칭호에 어울리지 않는 인간적인 모습이 느껴졌다. 마치 공공 화장실에서 만난 무비스타 같다고나 할까. 석가를 거대 사원의 메인 장식품으로 가둬놓기보다는 우리들의 삶 속에 한 발 끌어들여 종교적 삶의 시작과 끝의 바른 모습을 제시해주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싯다르타의 인생이 더욱 친밀하게 다가온다. 나와 상관없는 위인전 속의 인물이 아니라 동네 이웃들의 작은 깨달음을 보는 것 같아 정겨웠다.
  헤르만 헤세가 원했던 것은 일반인이 범접하기 어려운 성인의 모습이 아니라, 고뇌하고 번민하는 인간 싯다르타의 일상이 아니었을까 생로병사와 희로애락의 굴레를 극복하려는 한 인간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고 싶었던 것 같다. 평범하게만 보이는 작은 일상들이 모여 하나의 거대한 물살을 이루듯 수많은 삶의 질곡들이 모여 거대한 세상을 이루는 것처럼 말이다.


  <데미안>에서 봤듯이 하나의 사건을 밝음과 어두움이라는 양 측면에서 접근하는 헤르만 헤세 특유의 서술방식이 인상 깊다. 그것은 어느 한 쪽을 두둔하거나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그 뒤에 숨겨진 상반되고 모순되는 부분까지도 하나의 구성체로 아우르는 '통섭'인 것이다. 헤세가 글을 통해 추구한 세상은 서로 독립되어 있으되 종국에는 하나로 엮어지는, 그런 하나 된 세상이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