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소설로 그린 자화상 2
박완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199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늘날의 우리 문단을 구성하는 거대한 여류작가, 박완서님의 기억을 쫓아 책을 들었다. 개성 박적골에서의 어린시절과 서울 상경후의 이야기가 작가의 따뜻한 시선 속에 잔잔하게 펼쳐진다. 한마디로 그녀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성장소설이랄까...

다큐멘터리나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해방과 전쟁 전후의 모습들이 글속에 겹쳐진다. 실개울에서 빨래를 하던 아낙이나 종로거리에서 우마차를 피해 팔자걸음을 옮기는 할아버지, 물지게를 지고 언덕위의 판잣집으로 오르는 아저씨의 모습들이 나의 기억이라도 되는 양 정겹게 다가온다.
물론, 내가 태어나기 훨씬 전인 3~40년대의 수묵화 같은 이야기라 내가 기억하는 7~80년대의 흑백영상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하지만 누구나 간직하고 있는 ‘기억’의 조각이라는 점에서 박완서님과 내가 이심전심이 된다.

특히, 어린 완서의 눈에 비친 세상과 어머니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조용하고 아름다운 산골에서 생활하다 가족과 함께 서울로 상경해서 겪는 새로운 생활이나 외롭다곤 하지만 오히려 이를 즐기고 음미하는 모습, 책과 친구, 세상을 알아가는 과정이 잔잔한 여운을 남긴다. 또한 교육을 통해 자식 잘되기를 바라는 어머니의 억척스러운 인생관과 그런 어머니의 이중성을 꼬집는 위트가 글의 맛을 더한다.
정말이지 “박완서만의 탁월한 기억력과 감수성으로 꿈결처럼 다가오는 유년의 공간을 우리 소설 문학 속에서 가장 아름답게 그려 내고 있다.”는 띠지의 소개처럼 전쟁이라는 공황상태마저도 훈훈하게 다가온다.

1.4후퇴 전후의 공동화된 서울을 두리번거리며 밀가루 몇 줌이라도 남아있을까 남의 집 대문을 빠끔히 열어보듯 박완서님의 유년시절을 잔잔하게 둘러봤다.
무엇보다 그 시대를 살아가는 민중의 시각에서 그려나가기에 부담스럽지 않고 편안했다. 해방이나 전쟁과 같이 우리역사의 중심축을 지날 때면 지나치게 고지식해지면서 무조건 어떤 의미를 부여하려는 의식적 무거움에서 벗어나 일상을 사는 서민들의 소소함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 점이 마음에 든다. 어쩌면 그런 점이 역사를 더 생생하게 보게 만드는 지도 모르겠다.

햇살이 포근한 오후, 창가에 앉아 옛 기억을 더듬는다. 피부를 훑으며 올라오는 따신 기운처럼 뽀얗게 윤색되는 느낌에 흐뭇해진다.
어젠 한 인터넷을 통해 박완서님의 인터뷰 영상을 봤다. 약간 까랑까랑한 목소리와 눈가에 스며있는 웃음이 어찌나 인상 깊던지... 책에서 봤던 앙칼진 보드라움이 고스란히 와 닿는 느낌이다.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