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라는 말로 소설을 시작된다. 생일잔치를 위해 시골서 올라온 아버지는 함께 올라온 어머니를 서울역에서 놓쳐버린다. 그렇게 잃어버린 어머니를 찾기 위해 아들과 딸, 아버지는 서울 시내를 이 잡듯 뒤지고 다닌다. 큰아들이 서울로 올라와 처음 자리 잡은 동네에서부터 그들이 살았던 곳을 거쳐 가며 어머니의 흔적을 찾아보지만 어머니를 봤다는 사람은 좀처럼 만나질 못한다. 
 
  소설은 어머니를 찾아 헤매는 가족들의 시선을 통해 그녀의 잊혀졌던 과거를 하나씩 끄집어낸다. 자식과 남편의 뒷바라지에 몸 편할 날이 없었던 어머니는 자신의 욕망을 가슴 속에 묻어둔 체 살아올 수밖에 없었던 한 명의 여자였던 것. 너무나 평범했던 나머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그네들의 삶을 가족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되짚고있다.
  어머니, 그 이름 속에는 세상의 무엇과 바꿀 수 없는 따뜻함과 어떤 상황에서도 기꺼이 반겨줄 포근함이 묻어있었다. 어떤 투정도 다 받아줄 것 같고 어떤 부탁도 거절 없이 들어줄 것 같은 마법의 상자처럼 말이다. 하지만 어느 날부터 우리는 이 보금자리를 처음부터 늘 그곳에 있어왔던,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언제까지 그곳에 있을 것처럼 여기며 무시하고 외면해버렸다. 
  이렇듯 자식과 남편을 위해 반평생을 살아온 대가치고는 허무하기 짝이 없는 결과였지만 우리들의 어머니는, 당신과 나의 어머니는 오늘도 여전히 우리의 안전과 행복을 빌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 기도하고 있었다. 한 번의 투정이나 불평도 없이 묵묵히 그 자리를 지키고 계셨다.
 
  책을 읽으면서 부끄러워지는 내 자신을 되돌아보게 된다. 대학 보내 달라, 결혼시켜 달라, 집 사 달라, 얘 봐 달라, 학원비 보테 달라며 늘 손만 벌리는 내 모습에 비해 뭐 하나 제대로 해드린 것이 없다. 어제의 안부를 묻는 말에도 건성으로 말해버렸고, 피곤해하는 어머니를 보더라도 선뜻 손을 잡아주지 못했다.
  이제는 바꿔야겠다. 나의 안위를 부탁하기에 앞서 그녀의 건강을, 즐거움을, 행복을 부탁해야겠다. 나에게, 그리고 어머니 자신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