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 도둑
수잔 올린 지음, 김영신 외 옮김 / 현대문학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나무에 붙어서 살아가는 착생식물과에 속하는, 메마르고 삐죽삐죽 가시가 돋친 브롬엘리아드와 난초...(p26)”

작년 한 학생에게 선물 받은 책인데 조금은 전문적이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 차일피일 미루다 오늘에서야 읽는다. 착생식물을 의미하는 브롬엘리아드, 그중에서도 유령난초를 찾아 늪지를 여행한다.

아름다우면서 희귀한, 하지만 재배하기 어려운 폴라리자 린데니, 일명 ‘유령난초’를 대량 복제하려는 난초광 라로슈의 이야기로 마치 영원의 향수를 만들고자 했던 그르누이(파트리크 쥐스킨트의 <향수>)를 연상하게 한다.
라로슈는 나비가 꽃의 색과 향의 이미지에 이끌리듯, 돈벌이보다는 난초라는 존재자체에 가치를 부여하고 몰입한다. "미치광이 같은 영감에 휘둘리며...(p70)” 난초에 집착한다. 급기야 난초를 밀반출하다 적발되어 추진 중인 프로젝트가 뒤틀리고 동료들로부터 외면받자 난에 대한 열정도 언제 그랬냐는 듯 일순간에 사그라진다.

아직은 생소하게만 느껴지는 난초에 대해 많은 것이 담겨있다. 난초를 소재로 적은 소설이라기보다는 난초에 대해 설명한 논픽션에 가깝다. 초반의 인물과 사건중심(라로슈와 난초채취)의 흐름과는 달리 중반으로 갈수록 난초의 역사적인, 과학적인, 학술적인 이야기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래선지 책 뒷면에 소개된 “난초수집가들을 통해 들여다본 우리 내면의 어두운 열정과 집착!”이라는 소설적 느낌은 별로 와 닿지 않는다. 물론 난초에 대해 관심이 부족해서겠지만 조금은 지루하다. 책 초반의 난초라는 청초한 식물에 대한 관심이 중, 후반부의 ‘난초학습’을 거치면서 식어버린 느낌이다. 난초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야 상당한 재미와 지식이 전달될 수 있겠지만, 나 같은 식맹(植盲)들에겐 원하는 결과를 얻기는 힘들 것 같다.
난초와 관련된 그들만의 리그인가? 아니면 ‘난’쟁이들의 베스트셀러인가? ^^;

그리고 책 내용 중, 라로슈가 교접을 통해 새로운 난초를 만들 때의 말이 기억난다.
“모든 것이 어떤 목적이 있으니까요. 나는 상상의 식물학을 믿습니다. 나는 가능한 한 식물의 관점에서 보고 식물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목적이 전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놈들은 오직 잡종들밖에 없습니다. (p150)”

그럼 나의 특징은 무엇인가. 조용하고 차분하다? 신중하지만 결단성이 부족하다? 협동성이 부족하고 혼자하는 일에 익숙하다? 그렇다면 이런 특징에는 과연 어떤 목적이 있을까...
사람이 식물처럼 단순히 수정이라는 목적 하나로 살아가는 건 아니라지만 혹시 아무런 쓸모도 없이 조작된 껍데기뿐인 존재는 아닐까? 여기저기 주워들은 가식으로 위장한 체 ‘잡종’으로 살아가는 건 아닐까?
나는 잡종인가? 난초를 통해, 라로슈를 통해 나를 돌아본다.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