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아름다운 아이들 문지 푸른 문학
최시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와 학생을 중심에 놓고 써내려간 연작 소설로 문학에 관심이 많은 선재(학생)의 일기를 빌어 다섯 편으로 묶여있다.

1. 구름 그림자
구름에 가려지고 벗어나는 ‘구름 그림자’를 화두로 일상을 소담하게 그려나간다. 일기 형식의 글이 구름을 중심으로 오르락내리락하는 폼이 여간 흥미롭지 않다. 개인적 감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구름 그림자처럼 세상을 집어삼킬 듯 맹렬히 돌진하다가도 언제 그랬냐는 듯 저 멀리로 허허롭게 흩어진다.

2.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
허생전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서 교사와 그 조직(전교조)에 대해 얘기한다. 허생전의 사회성이나 정치성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었기에 처음엔 쉬 와 닿지 않았지만 허생과 홍길동의 이상향을 비교 토론하는 장면에선 무언가 분명한 것이 전해진다. 둘 다 이상을 위해 싸웠지만 홍길동은 그 싸움 속에 있었고 허생은 그 주변에서 맴돌기만 했다는 것...
누가, 어떻게 교육을 바꿔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따끔하게 지적한다. 어쩌면 교육의 문제를 교육 내부에서 혁신하지 못하고 저 멀리서 뒷짐만지고 해결하려는 ‘공상’을 경계하라는 건 아닐까.

3. 반성문 쓰는 시간
중심에서 비껴서 있는 생활지도의 모습이 씁쓸하게 그려진다. 문제의 핵심은 어디에도 없이 ‘처벌을 위한 처벌’의 규정뿐이다. 교사는 오로지 학생을 처벌하기 위한 존재인가 스스로 반성하게 된다.

4.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
모두 아름답다. 일등이나 꼴등이나 ‘범생이’나, ‘날라리’나 누구하나 소중하지 않고 아름답지 않은 아이들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현실은? 학교와 가정은 순위와 규칙들로 가득하다. 자연은 원래 그대로, 그저 자기 위치에 존재할 뿐이지만 우리들만이 이런저런 잡스런 의미를 갖다 붙이며 자르고 갈라버린다.
여기선 ‘비둘기’와 ‘기운의 밤’을 통해 이런 문제들을 말하지만 공허한 메아리처럼 흩어질 뿐이다. 그만큼 모두 아름다울 수 없는, 모두 1등이 될 수 없는 현실의 벽이 높기 때문인가...

5. 섬에서 지낸 여름.
제일 난해하게 느껴진다. 마치 꿈속에 들어앉은 느낌처럼 뿌옇게 다가온다. 어디에도 마음 붙이지 못하고 방황할 수밖에 없는 우리 학생들의 공허함처럼...

이렇게 다섯 편으로 이루어진 소설은 교육에 얽힌 문제 속에 갇혀버린 것인지, 여러 모순점들만 열거해 놓고 자리에서 일어나버린 탓인지 편을 거듭할수록 난해해지는 느낌이다. 어쩌면 공교육에 대해 무의식중에 갖게 된 나의 불안감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학생의 시각치고는 지나치게 논리정연하고 수려한 문체가 오히려 사실성을 떨어뜨린다. 자신과 사회 속에서 갈등하는, 조금은 엉성한 글(일기)이 오히려 사실적으로 보이지 않을까. 좀더 엉망(?)인 학생의 문장을 통해 다양하고 깊이 있는 생각을 전할 수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책을 읽으면서 날개지에 소개된 ‘최시한’이라는 작가를 계속 훔쳐보게 되었다. 소위 베스트셀러 작가는 아니지만 학생의 시각에서 교육을 바라보고자 하는 노력이 아름답게 보인다. 다시 한번 그의 글속에 담겨있는 의미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된다.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