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 학고재신서 1
최순우 지음 / 학고재 / 1994년 6월
평점 :
절판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김춘수 님의 '꽃'에 나오는 말이다. 아무리 향기롭고, 아름다운 꽃이 있다한들 그 꽃을 불러주는 이가 없다면 과연 진정한 꽃으로서의 가치가 있을까...우리 주변에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가치 있는 전통과 문화가 많이 있다 하지만 이런 전통문화를 기억하거나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오로지 박물관 속 진열대 속에서만 넣어 둔다면 이를 과연 진정한 전통과 문화라고 할 수 있을까...여기에 그 부름이 있다. 전통을 전통으로 받아들이고 문화를 문화로 이해할 수 있는 '부름'이 있다. 더 이상 단순한 '몸짓'으로 내버려두는 것이 아닌, 우리의 '꽃'으로 발견해 낼 수 있는 부름. 최순우 님의 목소리를 따라간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우리나라의 전통과 문화에 대해 좀더 알고자 했을 때, 그 '꽃'은 TV의 다큐멘터리 속의 박제된 문화재가 아닌 과거로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질 연속된 우리들의 삶 속으로 들어온다. 생활이 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나도 그에게로 가서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가 우리의 것을 알아 가는 과정을 통해 나와 우리 자신의 존재에 대해 좀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현재를 비추는 거울로서 우리를 이끌고 가리라.

'우리들은 모두 꽃이 되고 싶다.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우리들의 행동 하나하나, 우리들이 만들어 사용하는 티끌 하나까지도 시간 속에선 하나의 문화를 만들어낼 것이다. 우리들이 전통과 문화를 만들고, 전통과 문화가 우리들을 이끈다. 오늘날을 사는 우리들 스스로가 하나의 문화를 이루어내는 주체가 된다.

한 장 한 장의 책장이 마치 국보급 문화재라도 되는 양 조심스레 넘긴다. 감히 침을 묻힌다거나하는 생각은 꿈에서도 생각할 수 없으리라. 바람결에 불어온 먼지라도 앉지 않았을까 괜히 낱장을 쓰다듬어 본다.

천천히 박물관 뒤뜰을 둘러보는 듯한 여유로움으로 하나하나 알아가는 느낌이 감사한 책. 미쳐 느끼지 못했던 우리것에 대한 멋이 느껴진다. 쉬우면서 미려한 문체, 과장 없는 진솔한 글이 우리 것에 대한 멋을 더한다. 지난날 왜 느끼지 못했을까 하는 아쉬움...조금 더 일찍 이 책을 접하지 못한데 대한 미안함마저 들게 만든다.

책을 통해 우리 문화를 느끼는 동안 내 입가에서는 '희한한(희한하다 : 썩 드물다 또는 썩 신기하거나 귀하다(희한한 물건, 희한한 재주))' 미소가 가시질 않는다. 빨리 방학이 되어 '호젓하고도 스산스러운 희한한 아름다움'을 지닌 무량수전의 배흘림기둥을 쓰다듬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