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별인사
김영하 지음 / 복복서가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슨 말씀이신지 모르겠어요. 보시다시피 저는 인간인데요. 휴머노이드 아니에요." (p37)
  이렇게 끌려온 철이는 다른 로봇들과 함께 수용소에 갇힌다. 여기서 인간인 선이와 휴머노이드 로봇인 민이를 만나면서 자신도 어쩌면 휴머노이드 로봇일 수 있다는 사실과 마주한다. 이렇게 수용소 생활이 익숙해질 때쯤, 민병대가 쳐들어온 혼란한 틈을 타 셋은 수용소를 탈출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민이는 죽고, 재생 휴머노이드인 달마를 만난다.

  <작별인사>는 김영하 님의 기존 소설과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일단 배경부터가 로봇과 미래사회다 보니 다소 이질적으로 다가온다. 휴머노이드, 과학, 로봇, 복제와 같은 단어들이 등장하면서, 사회시간인 줄 알고 기다리던 교실에 갑자기 컴퓨터 선생님이 들어왔을 때의 당황스러움이랄까(아니 신선함이라고 해야 옳을 듯). 김영하 님의 색다른 시도와 관점을 볼 수 있을 것 같아 점점 흥미로웠다.

  책장이 넘어가자 로봇과 인간의 대결처럼 보이던 소설에서 점점 더 많은 것들이 보여지기 시작했다. 이야기의 겉모습만 보면 인간의 정체성을 간직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방황기 정도로 보이지만, 텍스트 곳곳에 남겨진 내용은 인간의 존재와 가치에 대한 질문으로 심오해진다. 

  우리 인간은 점점 복잡해지고 시스템화 되는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내가 생각하는 ‘나’라는 존재와 이를 증명한다고 믿는(아니 착각인가?) 자의식이나 생각은 어디서 나오는가. 뇌?
  그럼 이 신경 덩어리가 인간의 근원이란 말인가?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기술은 현실과 가상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유전자 조작이나 장기이식, 의체기술은 생명의 경계마저 사라지게 했다. 인간처럼 사고하고 글을 쓰는 인공지능부터, 뇌에 전기적 자극을 통해 시각을 재생하고, 최면이나 무의식을 이용해 기억도 조작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젠 뇌의 기능과 복합적인 사고력만으로 인간임을 증명하기도 어려워졌다. 

  
  나는 인간이 길거리의 가로수나 개울가의 올챙이, 내가 신고 있는 신발이나 안방의 옷장, 자동으로 온도를 맞춰주는 김치냉장고나 주머니 속의 스마트폰과 무엇이 다른지 자문해본다. 생물학적인 외형이나 '나'라는 생각이나 의식만으로 인간이라 말할 수 있을지 두려워진다. 이런 인식마저도 사회적 관습이나 보편적 규율에 따라 학습된 것은 아닐까. 거울 속에 비친 내가 진짜 나인지 의심스러워진다.

  최근 챗봇(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채팅로봇)이 많이 화자 되고 있다. 인간이 만든 정보를 학습해 새롭게 가공해 제공하는 서비스로 마치 유명한 교수나 석학과 이야기하는 것처럼 논리정연하다. 심지어 몇 달이 걸릴 보고서나 어려운 숙제도 척척 풀어내고 있어 일부에서는 사회문제로까지 번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로봇은 인간의 능력과 일을 대신해줄 것이다. 이제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란 그저 이들이 만들어낸 생산물을 즐기고 소비하는, 수동적인 것들 뿐이리라.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움직이는 존재가 아니라 외부의 자극에만 반응하는 고물덩어리가 되는 것은 아닐까.


  <작별인사>는 수동적인 삶에 대한 김영하 식의 작별 인사가 아닐까 싶다.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볼 것을 주문하는, 인류에 대한 마지막 인사...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