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실 언니 - 개정판
권정생 지음, 이철수 그림 / 창비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몽실아, 어서 가자."

  몽실이는 아버지가 집을 비운 사이 엄마의 손에 이끌려 노루실 마을로부터 '도망간다'. 평범하던 몽실이의 삶은 새 남자를 찾아가는, 가난을 벗어나려는 엄마의 선택으로 완전히 달라진다. 하지만 안정을 찾아가던 몽실의 생활도 동생 영득이가 태어나면서 찬밥신세로 밀려나게 되고, 급기야 새아빠의 폭력으로 다리까지 절게 된다.

  홀로 노루실로 쫓기듯 돌아온 몽실이는 새엄마를 맞이하게 되고, 거기서 여동생 난남이가 태어난다. 이렇게 잘 적응하는가 싶더니 한국전쟁의 발발과 함께 아빠는 전쟁터에 끌려가고 새엄마는 죽게 된다. 갑자기 고아가 된 몽실이는 난남이를 어렵게 '키워간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이웃 할머니의 주선으로 몽실이는 읍내 최 씨내 집에서 식모살이를 하게 된다. 식구처럼 대해주는 주인댁의 도움으로 먹을 걱정은 덜게 되었지만, 아버지가 돌아오고 다시 노루실로 돌아오면서 이전보다 더 힘들어졌다. 구걸로 하루하루를 연명하면서 버티는 중 아버지는 병으로 죽고 난남이마저 양녀로 '떠나간다'.

 

  소설의 첫 문장처럼 몽실이는 계속해서 떠돌아 다녔다. 엄마의 도망이나 새아빠의 폭력, 이복형제의 탄생과 구박과 같은 가족의 문제는 물론, 가난과 굶주림, 이념 대립과 전쟁과 같은 사회적 갈등으로부터 도망 다녀야 했다. 어린 소녀가 짊어지기에는 가혹한 현실이었기에 돌아가거나 피하는 것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었다.

  이는 외세의 힘에 의해 식민지가 되고, 이념이 나뉘고, 전쟁을 치룬 우리나라의 모습과 같았다. 새아빠에게 떠밀려 다리가 부러지고, 제때 치료받지 못했던 몽실이는, 일본에게 떠밀려 반 토막 나버린 우리의 모습이었다. 친일파와 매국노, 사회주의와 민주주의, 그리고 38선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몽실이의 부상은, 우리의 상처는 치유되지 못하고 평생을 안고 가야 할 숙명이 되었다.

 

  하지만 몽실이는 이 모든 고난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악착같이 달라붙어 삶을 이어나갔다. 누구를 원망하거나 탓하지 않고 자신의 운명을 하나씩 개척해나갔다. 

  한국전쟁 이후 반세기가 지났다. 많은 희생이 따르긴 했어도 민주화와 경제발전을 이룩하며 수많은 어려움을 하나씩 극복해왔다. 물론 아직 극복해야할 과제들이 많지만 언젠가는 잘 해결할 수 있으리라 본다.

  <몽실 언니>는 개인의 이야기가 가족의 문제로, 이웃과 사회의 이야기로, 대한민국의 근대사로 옮겨가는, 현재진행형의 우리 역사인 것이다.

 

 

- 2021.5.2., 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