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모유키 - 제10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조두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국가간에 시작된 전쟁은 개인의 비극을 넘어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의구심으로 되돌아왔다. 적이라지만 이는 국가 통수권자의 적일뿐 총칼을 집어든 병사나 이에 맞서는 백성들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이 소용돌이에 휩싸인 국민들은 그저 자신의 생존을 위해 남을 죽일 뿐이다.
수십 년을 살아온 인간의 목숨은 무의미한 칼질 앞에 난도질당한다.

일본군 군막장, 도모유키에 의해 그려지는 정유재란으로 역사적 영웅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전쟁에 참여했던 하급 무장의 입장에서 씌어진 점이 신선하다.
특히 빠른 장면 전환과 간결한 문체는 책에서 눈을 땔 수 없게 만들었고, 일본의 시각이라는 점은 오히려 전쟁의 잔혹성과 야만성을 직시할 수 있도록 균형을 잡았다. 대표적인 일본 애니메이션 <반딧불의 묘>처럼 자국민의 고통을 전면에 내세워 전범국 일본을 합리화한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으나 우선은 국가간의 전쟁이 아닌 생존을 위한 극한의 싸움으로 개별화해서 보면 될 것 같다.

하지만 2001년 출판된 김훈님의 <칼의 노래>의 아류작 같은 느낌은 지울 수 없다.
임진왜란(정유재란)이라는 시대상황과 일인 중심의 이야기 구성. 군더더기를 배제한 간결한 문체와 직설적인 묘사. 그리고 한 여인의 등장과 이별 등 여러 가지 설정이 유사하거나 비슷하다. 차이라면 조선의 명장 이순신의 독백이 하급 왜장 도모유키의 중얼거림으로 바뀌었다고 할까.

‘도모유키’는 재미있었지만 ‘이순신’이라는 진한 향기 때문에 처음 <도모유키>에 대한 광고를 접할 때의 신선함이나 제10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이라는 기대감은 조금 퇴색된 느낌이다.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