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과 유진 푸른도서관 9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이유진이라는 동명을 가진 중학생 소녀의 성폭력에 대한 기억을 다룬다. 잊고 싶거나 혹은 잊은 줄 알았던 아픈 기억들 앞에 놓여진 두 유진과 그의 가족들의 이야기다.
그래서 약간은 부담스럽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의외로 잘 넘어간다. 동명이인이라는 독특한 상황도 그러하거니와 학교와 성적, 이성친구와 같이 우리가 한번씩은 겪어봤던 내용들이 현실성을 더해주고, 이야기를 조율하는 적당한 리듬과 긴장감은 마치 여중생의 생활을 옆에서 지켜보는 것만 같다. 글 속에 녹아있는 불안함과 톡톡 튀는 감수성에 이금이 작가가 중학생 소녀인 듯한 착각마저 든다.

그러면서 두 유진의 뒤에 숨겨진 아픈 과거를 하나씩 끄집어내어 그녀들 앞에 펼쳐놓는다. 기억하기도 싫은 과거와 마주하게 되고 잊혀졌다고 생각되던 그때의 상처가 다시 부어오른다.
하지만 작가는 더 이상 과거의 아픔으로부터 도망하거나 외면하지 말고 당당하게 맞서라고. 그것이 비록 감추고 싶은 흉터로 남을지라도 그런 자신을 먼저 아끼고 사랑하라고 말한다.

“니가 그 일을 기억 못해서, 느이 식구들은 영영 그러길 바랬지만 나는 내내 걱정이었다. 늙어서 노망난 것도 아닌데 파릇파릇하니 자라는 것이 지가 겪은 일을 기억 못해서는 안 된다구 생각했단다. 다 알구, 그러구선 이겨내야지. 나무의 옹이가 뭐더냐? 몸뚱이에 난 생채기가 아문 흉터여. 그런 옹이를 가슴에 안구 사는 한이 있어두 다 기억해야 한다구 생각했단다.”
(본문 162쪽)

안타까우면서 시리고, 그러면서도 부끄럽다.
비행청소년과 성폭력문제를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며 무관심으로 일관하거나 피해자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외면한 것은 아닐까. 글들의 목소리를 가슴으로 듣지 못하고 귀로만 듣고 설교하려드는 ‘어른’이 되어가는 건 아닐까. 유진과 유진의 이야기를 넘기는 책장이 나를 둘러싸고 있던 채면과 허식, 이기심에 한없이 무겁게 느껴진다.

“그 빛에, 비로소 날개를 완성한 이카로스가 몸을 추스르는 것이 보였다. 상처를 모아 지은 날개임을 알고 있는 나는 온 마음으로 그가 날아오르기를 기도했다.”
(본문 277쪽)

이카로스, 그가 날아오르기를 진심으로 기도한다...

(www.freeism.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