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 자세 교정 핸드북 - 바른 자세로 운동 효과를 높이는 비결
시마다 사토시 지음, 김지혜 옮김 / 동글디자인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유아 발레뿐 아니라 성인 발레 클래스도 무척 많아졌다. 개인적으로는 발레나 요가 같은 운동이 맞는 편이라 취미 겸 운동으로 즐겨(?) 하는 편이다. 일이 많거나 바쁠 때는 한동안 쉬더라도 여력이 되면 다시 또 발레 클래스를 찾아보곤 한다. 그렇게 간헐적으로 발레를 하다 보니 오랜만에 다시 수업을 들을 때면 동작을 많이 잊기도 하고, 생각처럼 몸이 잘 안 따를 때가 많다.

 

또 강사의 스타일이나 반 분위기에 따라 처음 기본 동작부터 세세히 설명해줄 때가 있고, 혹은 기본 정도는 간단히 넘어가고 좀 더 고난이도의 동작 위주로 할 때가 있다. 그러다 보면 머리로는 알아들으면서도 몸은 생각처럼 안 따르거나 혹은 정확히 어떤 동작이 맞는지 긴가민가하며 어영부영 지나가기도 한다. 이럴 때, 바람직한 자세와 자세에 따른 몸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한다면 자세도 더 잘 잡히고, 몸의 선도 정리가 되어 운동 효과가 훨씬 커질 것 같다. <발레 자세 교정 핸드북>은 그래서 관심을 갖게 된 책이다.

 


이 책은 일본의 유명 침술원 원장인 저자가 많은 환자를 다룬 경험을 바탕으로 쓴 책이다. 저자는 발레 자세와 그에 따른 몸과 근육의 변화를 상세하게 이야기하며 무용수가 몸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준다. 그는 발레에 필요한 신체적 요소를 다리, 체간(體幹=몸통), 로 나누고, 그에 따라 각 장에서 그림과 함께 해당 근육을 올바르게 쓰는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발레를 할 때 가장 기본적인 턴 아웃을 하면도 대개는 어림짐작으로 자세를 잡기 일쑤인데, 이 책에서는 해당 근육의 그림과 함께 근육을 제대로 사용하는 요령에 대해서 알려준다. 이상근, /하 쌍자근, /외 폐쇄근 등 평소에 이름조차 잘 알지 못했던 근육들이지만 그림과 함께 보니 고관절을 열고, 바른 턴 아웃을 하는 올바른 근육 사용법을 알게 되어 좋았다.

 


책은 발레 가방 속에 넣어 다녀도 부담스럽지 않게 핸드북 형태로 무겁지 않게 만들어졌다. 불완전하거나 잘못된 자세로 오래 하기보다는 한 번을 하더라도 바른 근육을 쓰는 올바른 자세로 하는 쪽이 운동 효과가 훨씬 클 것 같다. 발레 동작을 바른 자세로, 제대로 하고 싶다면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보자기
도광환 지음 / 자연경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에 관한 책을 비교적 자주 읽는 편이다. 그러다 보니 미술 관련 책의 유형이 나름대로 분류가 되기도 한다. 미술사나 예술적 시작에서 다룬 책도 있고, 작가별, 작품별 이해에 중점을 둔 책 혹은 특정 시대 사조에 집중하거나 미술관 탐방에 초점을 맞춘 실용적인 책도 있다.


그런데 <미술-보자기>는 기존의 그런 유형에서 조금 동떨어진 책이다. 이 책은 25년간 보도사진을 주로 찍어온 사진작가의 미술 감상문이다. 그런데 그 미술 감상문이 조금 독특하다. ‘미술에 별 관심이 없었다는 저자는 밀라노에서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대면한 뒤 영혼의 떨림같은 예술적 체험을 한 뒤로 미술 감상에 빠져들었다고 한다. 그 뒤로 저자는 SNS에 미술 관련 글을 꾸준히 올렸고, 그 내용들을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 이 책이다.


이 책은 미술 감상에 대해 솔직하고 담백하다저자는 전문가처럼 아는 척을 하거나 그림에 대한 지식을 뽐내지 않고오롯이 라는 존재에 대해서만 고민하고살펴보고사유한다미술 작품은 그런 그의 고찰에 적절하면서도 좋은 매개체가 되어줄 뿐이다평론가나 미술 전문가의 글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느껴지기도 하지만그래서 더 읽기에 편하기도 하다.



저자는 미술을 ‘‘보자, 보는 일, 자신을, 기억하는 힘으로 정의한다. 그는 미술 작품을 통해에 대한 고찰을 시작하고 끝부분에 다시 ‘‘는 누구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으로 회귀한다. 책은 다양한 미술 작품 감상을 거친 뒤 숲은 아름답고, 어둡고, 깊지만, 우린 약속을 위해 잠들기 전, 먼 길을 가야 한다.’는 다짐으로 끝을 맺는다. 그가 말하는 약속이란 바로 나를 찾는 일로서 이는 예술의 근본적인 이유이자 우리 삶의 과정이기도 하다.


보통의 미술 감상 책들은 시대별 혹은 작가별로 다루는 게 보통이지만, 이 책은 동서양과 시대를 자유롭게 넘나든다. 이 책의 목적은 개별 작품 하나하나의 감상이 아니라, 작품을 통해 나와 내 주변을 알아가고 이해하며, ‘나는 누구인가라는 스스로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술 작품들을 종횡무진 오가도 전혀 혼란스럽지 않고, 자연스레 따라가며 읽게 된다.



책은 실제본으로 완전히 펼쳐지게 되어 있어 그림을 감상하기에 무척 좋다. 내용면에서도 우리에게 익숙한 유명 작품 외에 미처 알지 못했던 작품들도 다양하게 보여준다. 작품의 유명세, 인지도에 치중하지 않고 -가족-친구,이웃,연인-엄마-여성 /신화-종교-역사/ 도시-자연 사고의 확장에 따라 그에 적절한 작품들을 감상하도록 제시해준다.


예술은 표현 방식과 매체는 각기 다를지라도 근본적으로는 란 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과 그 답을 찾아가는 사유의 과정이다. 많은 예술가들이 자화상을 남기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화가가 자화상을 그리듯 미술감상을 통해 ‘‘는 누구인가에 대한 담론을 다룬 책이다. SNS에 게재했던 글이기에 읽기에 어렵지도 않다. 풍부한 그림 감상과 함께 내 안의 나를 살펴보고자 한다면 좋은 안내자가 될 듯하다.


---------------------------

*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주관적인 감상을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절에는 이야기가 숨어 있다
목경찬 지음 / 담앤북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부로 전국의 65개 사찰의 문화재 입장료가 면제되었다. 이런저런 사연도 많았지만, 국가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사찰들의 문화재가 입장료가 최종적으로 사라진 셈이다. 이에 따라 사찰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도 더욱 많아질 것 같다.

 

사찰은 평온하고 고요한 분위기 그 자체로도 좋지만, 사찰에 대해 좀 더 알고 가면 보는 즐거움이 배로 늘어난다. 모르고 볼 때는 우락부락 험상궂게만 느껴지던 사천왕상도 알고 보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사찰과 부처님을 보호하는 든든한 장군처럼 느껴지게 마련이다.



또한, 다 비슷비슷해 보였던 사찰들도 내용을 알고 차근차근 돌아보면, 처마를 떠받들고 있는 용, 부처님이 앉아계신 좌대를 받치고 익살스럽게 웃는 사자, 거북이 등에 올라탄 토끼, 수많은 불화와 벽화, 불상들이 친근하게 말을 걸어온다. 이쯤 되면 전에는 한 바퀴 휙 둘러보고 나오던 사찰도 구석구석 볼거리가 가득해 걷는 재미, 머무는 재미가 더욱 많아진다.



<절에는 이야기가 숨어있다>는 이런 재미를 쉬운 이야기로 풀어주는 책이다. 저자는 유식불교를 전공하고 사찰 기행과 사찰 강좌를 다년간 이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찰에 관한 이야기를 알기 쉽게 들려준다. 그는 부처님과 열두 동물, 사찰 속 숫자를 중심으로 사찰 속에 숨겨져 있는 다양한 상징과 의미에 대해 말해준다. 같은 내용일지라도 저자는 엉덩이가 멋진 부처님, 얼굴만 씻는 부처님, 도난당한 불화, 새끼줄을 뱀으로 보다등등 재미있는 소제목으로 독자들의 호기심을 이끌어낸다.

 

불교 신도이거나 사찰을 자주 다녀본 사람이라면 많이 들어봤음직한 이야기들이지만, 사찰 여행 경험이 별로 없거나 불교가 아직 낯설게 느껴지는 독자라면 기초적인 내용부터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될 듯하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라톤 국가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50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라톤의 <국가론> 혹은 동굴 우상에 대해 처음 알게 된 것은 고등학교 때 철학 시간이었다. 지금이야 철학 수업이 흔하지만, 그 당시에는 학교에서 처음 배우는 철학이 생소하게 느껴졌었다. 그나마도 우리 학교가 철학 수업 우선 시범 학교로 선정되는 바람에 가능했던 것. 처음 하는 철학수업에 선생님도, 우리도 낯설었지만 그래도 그 덕분인지 나중에 대학 때 교양 수업이나 현대문학 이론 수업을 들을 때 큰 도움이 되었더랬다.


플라톤의 동굴 우상’, 즉 이데아 IDEA론은 문학이나 예술 이론에서는 자주 다뤄지는 개념이다. 그래서 그 내용은 알고 있지만, 완역본으로 제대로 읽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많은 고전들이 그렇듯 언제고 제대로 함 읽어야지하면서도 차일피일 미루어 두었던 책 중의 하나인데 이제야 읽게 된 셈이다.



플라톤의 <국가>는 플라톤의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그의 제자들과 나눈 대화를 모은 책이다.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사업가인 케팔로스의 집에서 케팔로스의 아들인 폴레마르코스와 플라톤 형제들 등 여러 제자와 다른 소피스트들의 질문에 답하면서 논의를 이어간다. 그들의 대화는 국가와 통치, 정치와 정의, 군인과 통치자로 구분되는 국가 수호자들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그중에는 그 유명한 이데아 IDEA’론과 미메시스 mimesis 등 예술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그들이 나눈 대화와 논의를 모아놓은 <국가>를 읽다 보면 철학자들의 논의 현장에서 같이 그들의 대화를 듣고 있는 듯한 기분이 든다. 소크라테스는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라고 주장하는 소피스트 트라시마코스의 대화에서 끊임없는 질문과 역설로 그의 철학적 논리를 이끌어간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의견을 처음부터 일방적으로 주장하지는 않는다. 그는 상대에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과 그에 따른 작은 결론들을 이끌어가며 자신이 생각하는 방향으로 대화를 이끌어간다. 바로 산파법(産婆法)’이라고 알려진 소크라테스의 유명한 대화법이다.


이런 그의 화법에 대해 트라시마코스는 시치미 떼는 전술혹은 자꾸 말꼬리를 잡는다며 짜증이 내기도 하지만, 하나하나 되짚어가며 사실 관계를 확인하고 논리를 이어가는 소크라테스에게 때로는 오류를 지적당하고 혹은 상대를 지적하기도 하며 서로의 논쟁을 이어간다.

 


<국가>에는 정치와 권력, 통치와 국가 수호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명예욕과 탐욕을 부끄러워하고, ‘스스로 나서서 통치하는 것을 수치로 여겨서 서로 통치를 맡지 않으려 했기에 보수를 주고서라도 통치자의 역할을 맡도록 했다고 한다. 이는 스스로 자신의 보수나 연금을 높이고, 명예욕과 탐욕을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현대의 정치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책은 제1~1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동굴 우상에 대한 이야기는 제7권에 등장한다. ‘동굴 우상은 플라톤 철학을 대변하는 가장 대표적인 논리로서 철학뿐 아니라 문학, 예술론에서도 필수적으로 다뤄지는 이론 중 하나다. 그 내용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완역본으로 읽어보니 동굴 우상 이야기 전후의 세세한 내용과 함께 악인의 통찰력이나 플라톤이 주장하던 철인 통치론(哲人通治論)’ 등 더 자세한 이야기를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또한, 사람들이 와전시켜 잘못 전해지는 소크라테스의 명언들도 원래의 문장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점도 좋았다. 아마도 이런 즐거움이 원전 혹은 완역본을 읽는 즐거움이 아닐까.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옥사전 Part 1 지옥사전 1
자크 콜랭 드 플랑시 지음, 장비안 옮김 / 닷텍스트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평소에 잘 인식하지는 못해도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상징들로 가득 채워져 있다. ‘상징이라고 하면 광범위하고 간혹 어렵게 느껴질지 몰라도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이라는 말처럼 A라는 대상이 B라는 개념을 상징하는 일은 우리를 둘러싼 생활, 문화, 종교, 역사에 가득하다. 십자가는 기독교의 상징, ()자는 불교의 상징인 것처럼 말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오컬트(Occult)는 각종 상징으로 가득 찬 분야다. 오컬트는 신비주의, 인간의 이성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초자연적 현상, 악마나 악령 등을 주요 소재로 한다. 사람마다 호불호의 차이는 있지만 <데미안>, <오멘>이나 <엑소시스트>부터 <곡성>, <사바하> 같은 오컬트 영화는 늘 호기심을 자극한다. 공포영화의 오싹함을 많이 좋아하진 않아도 영화 안에 숨겨진 기호나 상징을 살펴보는 일은 늘 흥미롭다.

 

상징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문학, 영화, 사진, 예술 등 장르를 막론하고 그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작품 속 상징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서는 해당 작품을 겉핥기식으로 보거나 잘못 해석하는 오류가 생길 수도 있다. 오컬트 상징을 다룬 이 책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그 때문이다.

 


<지옥사전>은 영(), 악마, 마법사, 점술, 신비, 초자연적 현상 등 다양한 오컬트 요소들에 대해 설명해놓은 사전 형식의 책이다. 사전의 형식을 띠고 있어 책은 ABC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권 중 첫 번째인 Part1에서는 A~E까지의 키워드를 다루고 있다. 한국어로 찾아보려면 책 말미에 있는 가나다순 색인을 참고하면 된다. 특히 중간중간 삽입된 그림들은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책에 대한 흥미를 더욱 북돋운다.

 

플랑시라는 이름이 낯설지 않아 찾아보니 <리진>에 등장했던 초대 주한 프랑스 공사인 빅트로 플랑시가 있었고, 그가 바로 이 책의 저자인 자크 플랑시의 아들이었다. 자크 플랑시는 1818년에 지옥에 사는 악마들을 다룬 <지옥사전>을 펴내었으며, 이 책은 무려 6번이나 재판본이 나왔다고 한다.



책에는 나무(Arbres/ Trees), 무지개(Arc-En-Ciel/ Rainbow)처럼 우리 주변의 대상이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기도 하고, 바벨(Babel), 바실리스크(Basilic/Basilisk), 벨페고르(Belphégor)처럼 책, 영화 등에 등장했던 요소들도 보인다. 황새(Cigogne/Stork), 양배추(Choux/Cabbage), 수탉(Coq/Rooster) 같은 상징들도 보인다. 연관 항목이 E항목 이후인 경우에는 아직 2, 3권을 볼 수 없어 아쉽기도 하지만, 순차적으로 발간된다 하니 나머지 책들이 더욱 기다려진다.

 

신비주의, 악마, 초월적 존재가 등장하는 신화나 옛 이야기, 영화나 소설, 예술작품 속에 들어있는 다양한 상징에 대한 궁금증을 풀고,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면 오컬트 사전 형식을 띤 이 책이 나름의 설명을 해줄 듯하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