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뇌는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뇌가 하나도 차이가 없다. 단지 그는 우리가 습관처럼 사용하는 사고의 진행 방식을 거부할 뿐이다. 창의적 발상은 누구에게나 섬광처럼 나타나지만 그것을 구체화 시킬 수 있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에 존재한다. 그 차원의 문을 그는 잘 알고 있는 듯 하다.


나무는 장편을 쓰기 위한 긴 호흡에서 오는 압박감을 짧은 호흡으로 일정 부분 풀어 버릴려는 작가의 자위적 창작물이다. 하지만 결코 그의 역량이 입에 발린 사탕처럼 얕은 수준으로 표출되는 작품을 결코 아니다. 창작의 시작은 아주 가벼운 생활 체험에서 비롯된다. 그는 그러한 하나 하나의 경험을 단순하게 흘려 버리지 않는다. 


아기와 성인이 다 똑같은 생명의 가치를 인정 받듯이 단편과 장편은 큰 차이가 없다. 단편은 언제든 장편으로 진화 할 수 있으며, 그 반대로 장편 중에는 오히려 단편으로 구성해야 더 탄력적인 이야기로 풀 수 있는 작품이 있다. 작가는 다분히 후자에 해당하는 소재들을 모아서 단편 모음집 나무를 완성했다. 물론 이중에는 장편으로 발전시킬 만한 것도 없지 않지만 대부분이 단편으로 짧고 굵은 감동을 안겨주는 편이 더 좋다.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일찌기 개미라는 작품을 통해서 우리에게 '낯설게 보기'라는 발상의 전환을 일깨워 준바 있다. 작품 나무에서도 우리는 그의 관조적 외계 시작을 느낄 수가 있다. 어떻게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문득 생각해 볼 만한 것들이지만 그는 끝에서 드러나지는 반전을 통해서 각각의 소재가 가지고 있는 생뚱맞음을 결코 게으른 자의 공상으로 그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생각의 관성은 우리들을 습관의 동물로 쉽게 만들어 버린다. 그러다 보면 우리가 정작 중요시 해야 할 가치에 대해서 무관심하게 스쳐 지나가게 만들게 한다. 작가는 그러한 부분을 매우 아쉬워 했을 것이다. 그가 가지는 궁극의 질문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로 귀결된다. 딱히 정답이 없는 질문이지만 그가 던지는 화두는 우리가 삶 속에서 망각해 가는 창의적 상상력이라는 샘을 마르지 않도록 도와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샘의 물은 자꾸 퍼낼수록 더 맑고 많이 쏟아나지 않는가? 그 노력의 결실은 결국 독자가 짊어져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