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 상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품은 소설적인 감동의 한계가 단지 이야기의 극적 구성이나 사건의 전환에만 의존하지 않고도 긴 글을 짧게 끊어서 읽을 수 있게 하는 묘미를 느끼게 해준다.

중세 암흑 시기의 어느 수도원에서 벌어지는 연쇄 살인 사건에 얽힌 미스테리로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간다. 소설의 전개 방식에서 요한계시록의 일곱가지 재앙에서 비롯된 듯한 필연성을 가장한 우연성이 오히려 소설적 재미를 더 느끼게끔 해주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군데 군데 포진해 있는 여러 지적 자극 요인들 즉 사회학, 기호학, 종교론, 자연과학 등은 전반적인 이야기속에 시줄과 날줄처럼 교묘하게 얽혀있어 재미를 배가시키고 있다.

문학적 분류로 보자면 단순한 추리소설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아드소 수련사의 일인칭 관찰자 시점에서 본 시야는 오히려 독자로 하여금 제한적 시야라는 한정된 경계속을 마치 안개속을 걸어가듯 동행하게 만든다. 이로 말미암아 일정수준의 호기심이 극적 상황의 고지를 넘나들면서 주인공들에 대한 감정 이입을 더 자극케 하는 장치가 되어 줄 수 있었다. 특히 그 장치로 사용된 소설 서두에 등장하는 회고적 형식의 발단부는 신비스러운 옛 이야기를 들으면서 빠져드는 몰입의 효과를 거둔다.

작품의 내용은 중세 카톨릭 시기에 벌어지는 황권과 교권의 충돌과 갈등, 이단 규정과 처벌 문제, 말세론 해석과 지식 및 신앙의 함수관계를 비교적 유기적으로 연결지어 묘사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갈등 구조는 결국 아리스토텔세스 시학 2권 중 희극에 대한 가상의 문서에 대한 잘못된 오역이 초래한 대재앙으로 막을 내리지만 늟은 장님 수도사의 독단적 편견이 갖는 위험성은 현재까지도 경계해야할 교훈이라 할 수 있다.

금기 타파의 시작은 지적 호기심에 대한 자유스러운 탐구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때, 진리는 결코 묶어 놓아 절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요 훗날 알을 깨고 나오는 새 생명의 날개짓처럼 도약할 수 있는 전제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amoo 2010-08-16 2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진 서평 잘봤습니다^^

피델리스 2010-08-17 06:18   좋아요 0 | URL
자주 들리시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