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연장통 - 인간 본성의 진짜 얼굴을 만나다
전중환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19세기 후반에 새로운 학문의 분과로 처음 등장한 심리학은 매우 독특한 포지셔닝을 하고 있다. 인문학과 자연과학 그 사이 어딘가에 있게 된 것이다. 심리학에 등장하는 다양한 추상적 개념들이 생물학적 지식과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검증 받으며 쌓아 올려지는 순간, 이 학문이 갖춘 견고함은 다른 학문과 비교가 되지 않았다. 비슷하게 찰스 다윈의 진화론도 초기에는 합리적 이성을 신봉하는 인문학자들의 거센 공격을 받았지만 점차로 과학적 증거를 통한 신뢰가 쌓아가면서 시간에 따른 자연의 작동 메커니즘을 타 학문 영역까지도 확장하기에 이른다.

 

인간 심리의 기원을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진화론이라는 도구를 사용하게 된 것은 당연한 수순이였을 것이다. 인간의 마음이 빈 백지상태에서 출발하여 문화와 교육을 통해 채워져 나간다는 논리는 이제 더이상 설득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 제시되는 반론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진화론에 입각해서 인간 심리기제를 설명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은 오히려 타당한 실험적 결과를 통해서 서서히 과학적 이론 체제로 무장하고 있다.

 

데이비드 버스 교수의 제자인 저자의 첫 진화심리학 입문서는 우리가 우리가 이미 알고 있었지만 잘못 알고 있던 인간 심리의 다양한 층위를 재미있는 실험을 통해서 쉽게 설명해 주고 있다. 유전자 단위에서의 생존 전략은 명확하다. "생육하고 번식하라!" 성경의 창세기에 나오는 이 귀절를 대표적인 명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생명체는 그들의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환경에 맞춰 훌륭하게 적응시켜 왔으며, 그에 관련된 유전자를 후대에 전달함으로 생존에 유리한 전략을 지속시켜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인간 심리의 지저에도 흔히들 동물적 본능이라는 것이 자리잡고 있어서 갑작스러운 외부 환경 변화에 즉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심리기제를 진화시켜 왔다는 것이 다양한 실험적 검증 과정을 거쳐서 이론의 타당성을 확립해 나가고 있다. 즉 인간의 심리도 오랜 시간동안 진화 단계를 거치면서 만들어진 결과물일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 가설에 불과한 것도 많지만 진화심리학의 기초를 흔들리게 할 만한 반증이 특별히 존재하지는 않았다.

 

인간의 본성은 결코 이성적이지 않다. 또한 반대로 인간의 감정은 무질서하게 발생하지도 않는다. 나름의 진화과정을 통해서 수렴된 인간 심리의 고유한 특성은 앞으로 여러 진화심리학자와 다른 분야의 학자들의 통섭으로 더 많은 부분이 밝혀질 것이다. 저자가 서두에서 강하게 표현하고 있지만 학문적 깊이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다른 묵직한(?) 입문서를 권하고 있다. 시중에는 이미 스티븐 핑커, 로버트 라이트, 데이비드 버스 등이 쓴 훌륭한 진화심리학 관련 서적이 출판되어 있으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석심리학 - C. G. Jung의 인간심성론, 개정증보판
이부영 지음 / 일조각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융의 분석심리학에 대해서는 거의 바이블에 가까운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심리학의 이해 - 3판
한규석 지음 / 학지사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외국 저자들이 판치는 심리학 각론 분야에서 정말 우리의 것으로 체화된 우리 개론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존 그레이 지음, 김경숙 옮김 / 동녘라이프(친구미디어)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이책을 읽지 않고서 연애을 했다고, 이성을 안다고 말하지 말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자 한길컬처북스 2
이부영 지음 / 한길사 / 1999년 10월
평점 :
품절


빛이 강할수록 그림자는 짙다라고 합니다. 내면의 성찰을 도와줬던 융심리학의 기본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