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공지영 지음 / 문예마당 / 1993년 2월
평점 :
절판


유교적 전통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무엇이 가능한 것일까? 왜 여성은 피해자로만, 남성은 가해자로만 분류되어야만 하는 비극의 악순환을 되풀이하게 되는 것일까? 작가 공지영의 이 작품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이끌어 낸 책은 결코 아니다. 단지 그 모순을 공감케하여 해답을 유도해 낼 뿐이다. 결국은 영원히 다가설 수 없는 금단의 영역에 도전하는 일인지도 모르며, 진실한 해답은 없는 질문으로 잊혀져 갈지도 모른다.


그러나 여성이 아닌 인간이라는 공통의 이름만으로도 우리의 문제이며, 바로 나의 문제인 것을 인식한다면 그것은 대단히 훌륭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소설속에 등장하는 혜완, 경혜처럼 각기 다른 개성의 여인들은 바로 나의 어머니의 모습이며, 내 여동생의 모습이기도 하다. 성적 차별에 따른 불평등의 차원을 극복하려는  사회에서도 여전히 여성에 대한 편견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이에 따르는 정신적, 육체적 고통은 여성만의 출산의 고통만큼이나 필요악처럼 작용하는 것을 우리는 쉽게 목격하게 된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여성의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남성은 결코 적의 위치에만 있지 않다는 것이다. 어쩌면 가장 큰 적은 바로 여성 자신이며, 그 내면의 세계에서 움추려사는 기생충같은 자기암시인지도 모른다. 여성 스스로는 그 적에 대해서 잊고 지내지만 언제나 어디에서나 살아 움직이며 결정적인 치명타를 안겨 주고는 슬그러미 그 모습을 어두운 곳으로 감춘다는 것을 항상 의식해야 한다.


특히 어머니라는 지위에 오른 여성이 그들의 딸에게 하는 거의 무의식적인 성 역할 교육을 대물림해서는 안될 것이다. 물론 그 자리에 남성은 아주 위험한 공범의 역할을 꾸준히 행하는 불청객의 자리를 떠나지 않는다. 여성 스스로의 해방은 그들 스스로 주체자라는 자각과 더불어서 그들의 협력자인 남성을 얼마만큼 끌어들이냐에 따라서 엄청난 차이를 발생할 수 있다.


신은 남성과 여성을 만드셨다. 그들은 원래 하나였으며, 언제나처럼 서로가 하나되기를 염원하고 있다. 사회의 구조가운데 움튼 거미줄을 제거하듯이 우리는 공동으로 사회의 성 평등을 획득하기 위해 더욱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그길만이 최소한 이 작품에서 그려지는 희생될 수 밖에 없는 여성을 만들지 않는 길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