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피용 (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파피용이 스티븐맥 퀸 주연의 1973년도작 '빠삐용'을 연상하게 하는 이유는 단지 나비를 뜻하는 동일한 이름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아마도 탈출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바라보는 느낌이 비슷해서인지 모른겠다. 자신을 가두고 있는 번데기 외피를 벗어버리고 저 높은 창공으로 도약하는 나비의 모습은 영화에서나 이 책에서나 그 상징적 의미를 같은 연장선상에서 공유하고 있다.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다양한 경로로 유입된 지구멸망설을 들으면서 지내고 있다. 일찌기 1980년대초에 발생한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같은 치명적 바이러스부터 시작된 지구 멸망 시나리오는 영화 '딥임팩트'나 '아마게돈'과 같은 영화의 소재였던 운석 충돌은 이미 백악기말 공룡들은 멸망시킨 바가 있다. 가장 최근에 개봉한 '투모로우'는 지금도 그 영향력을 실감하고 있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지구 환경의 파괴를 예견하고 있다.

파피용은 다양한 지구 멸망의 위험요소 중 어떤 것때문에 지구의 멸망(적확하게는 인류의 멸망)이 일어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는지 않는다. 단지 그 결정적 시간에 앞서서 '마지막 희망'프로젝트는 실행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인류가 어떻게 종족 번식의 종말을 보이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그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에 이 작품의 주제가 담겨 있다.

작품은 발명가 이브, 억만장자 맥 나마라, 생태학자이자 심리학자인 바이스, 항해 전문가 말로리가 지구를 탈출하게 되는데 사용 될 미래형 방주의 기획자며 실무자로 14만 4천명의 지구인과 더불어 지구를 대신 할 미지의 행성을 향해 1252년 동안 20조 킬로미터를 여행하게 되는 과정을 실감나게 묘사하고 있다. 물론 후반부에 등장하는 아드리앵, 엘리자베트가 미래 우리 인류의 아담과 이브인지는 끝까지 읽는 독자에 남겨진 수수께끼지만 말이다.

인류의 종족 보전 능력은 가장 하등한 세균에서 부터, 바퀴벌레 같은 곤충, 쥐와 같은 설치류보다 생물학적으로 더 났다고 비교 할 수 있는 근거가 없다. 특히 다른 동물들과 차별화된 진화된 뇌에서 비롯된 물질 문명과 풍요로운 문화 또한 기나긴 우주 범선의 여행 과정에서 이렇다할 충분한 역할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오히려 인간의 내재된 욕망을 실타래가 거칠게 엮어지는 과정에서 권력 투쟁과 폭력 등 인간의 이성적 제어 능력은 그 한계를 결정적으로 드러내는 사건들만 발생할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피용이라는 작품에서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인류의 희망은 고민하는 자의 실천에 있다. 고민은 고민으로 그치지 않고 그 대안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극복을 위한 실천이 동반되지 않고서는 아무런 존재 이유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고민, 바로 이 문제 의식이 우리 인류가 멸망이라는 절벽끝에서도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물론 인간이 스스로가 느낄 종족의 단점을 무엇을 통해서 극복해 갈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것은 아마도 거대한 방주에 탈 수 있었던 수 많은 사람들을 후세 인류에게 도움이 될 만한 사람으로 승선시켰다 하더라도 다양한 변수로 인해 어떤 요인이 선택 될 지 모르는 진화처럼 인간의 지성이 인류 보완 계획의 실마리를 어떻게 찾아 나갈지는 더 두고 보아야 할 문제일 것이다. 이 소설처럼 지구 탈출을 하지 않기위해서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