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 전세계가 주목한 코넬대학교의 "인류 유산 프로젝트"
칼 필레머 지음, 박여진 옮김 / 토네이도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부족의 중대사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이미 은퇴한 추장과 그 비슷한 연령의 노인들에게 현 추장이 자문을 구하는 전통을 오랫동안 유지해 왔다고 한다. 그만큼 연륜에서 비롯된 다양한 경험의 총체는 매사 다양한 변수와 가능성을 따져서 보다 효율적인 해법을 찾아내야하는 현대인에게도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대다수의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지혜로운 노인으로 표상되는 현자의 지혜는 공동체 유지에 얼마나 좋은 자양분이 되어 왔는가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된다.
5년 이상의 준비과정을 거쳐 70세 이상의 노인, 1000명을 조사해서 수렴한 30가지 삶의 지혜를 이 책은 담고 있다. 영적지도자가 말하는 답은 세속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는 다분히 추상적이고 표리적으로 느껴진다. 어쩌면 노인들이 오롯이 그들이 살아왔던 삶을 통해서 얻어낸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답이 더 진흙 속의 연꽃 같다. 그들이 알려주는 지혜의 정수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행복한 결혼생활은 사랑의 설렘보다는 우정을 믿고, 성향이 자신과 비슷한 사람과 결혼해야 하며, 부부가 서로가 반반으로 공평하게 할일 나눌수 없다는 사실을 믿고, 대화로 관계를 끊임없이 이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만 잘 유지 될 수 있다.
2. 만족스러운 직업을 찾기 위해서는 끈기있게 포기하지 않고 내적인 보상이 주어지는 직업을 찾아야 하며,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추구하면서 인간관계 기술을 연마하여 나쁜 직업에서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라는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
3. 자녀의 옳바르게 양육은 편애를 드려내지 않고, 체벌없이 무슨 수를 써서라도 관계의 균열만은 피해야 하며, 가급적 아이들과 소소한 일상까지 더 많이 보내려고 할 때 '평생의 관점'으로 보게 되는 부모와 자식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4. 두려움없이 나이들기 위해서는 우선 쓸데없이 노화와 죽음 대한 걱정을 버리고, 만성질환을 막기 위해 몸을 아끼며, 새로운 인간관계를 개척하고, 노후의 거처(노인거주시설)를 계획해 두어야만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5. 항상 정직하고 새로운 기회나 도전할 일이 생겼을 때마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하고 싶은 말을 바로바로 하면서 신중히 선택한 배우자와 함께 더 많은 여행을 하며 산다면 말년에 후회할 일을 만들지 않을 것이다.
노인들이 내놓은 조언들에는 자주 반복되는 내용들이 있다. 그것은 삶이 아주 짧다는 것을 알고, 오늘 하루에만 집중하여 일상의 즐거움을 찾아 걱정으로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는 것이다. 또한 행복은 조건이 아니라 선택이라는 점을 명심하여 어떠한 삶의 굴곡에서도 행복한 삶을 의식적으로 선택하고, 가급적 종교 단체의 소속을 통한 위로를 얻을 수 있는 신앙을 가져야 한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인생은 삶의 가치를 찾아가는 여정과 같다. 그 길 위에서는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서 얻게 되는 자신만의 진리를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분명 원하던 원하지 않던 생물학적 노화를 피할 수는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시간이 일깨워준 성숙이라는 정신적 성장이 우리를 반대로 젊게 만들수 있다는사실이다. 자연계에서 생명체의 수렴된 적응기작이 진화의 구심력이 되듯이 우리 인간의 삶도 나이듦을 통해서 다음 세대에 지혜라는 유전자를 끊임없이 전해줄 때 인간사회는 더 밝은 미래를 꿈꿀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