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소리로 아들을 위대하게 키우는 법
마츠나가 노부후미 지음, 이수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는 딸과  두 아들을 키우는 본인에게  다시한번 아들의 이면을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열어주었다.

경험적으로 야단 맞을 짓을 만들지 않는 딸과 마치 야단맞는 것이 삶의 목표인 것처럼 여겨지는 아들을 동일시 여기고  같은 목표를 두고 양육했던 방식에서 한 발 물러서게 되었다.

오히려 산만하고 활동적인 아들을 보며 긍정할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저자가 어느 날  산만한 아들때문에 걱정이 되어 아버지에게 자녀의 이야기를 하며  한탄을 하자 그 아버지는 아무 걱정을 말라며 위로하는 대목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 아버지 말씀 " 그런 말 마라. 너는 얘보다 백배는 더 산만했다."

나역시 자녀의  문제를 산처럼 쌓아놓고 걱정하기 일쑤인데, 이 아버지의 말씀이 위로가 된다.

책의 감동되는 한 부분을 올려본다.

'들어가며'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까불까불 나대는 이 에너지야 말로 사내아이에게 없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힘이라고 생각한다.나는 이것을 고추의 힘'이라고 부른다.

고추의 힘은 재미를 추구하고, 찾고, 발견하게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멋진 아이디어를 얻는다. 고추의 힘은 남자의 모든 창조의 근원이다. 고추의 힘이 있기 때문에 남자는 재미있는 일을 생각해낸다. 그리고 고추때문에 늘 마음이 흐트러져서 무의미한 일을 되풀이 하기도 한다. 사실 사내아이들은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산만하다는 이유로 야단을 많이 맞는다. 하지만 한시도 가만있지 못하는 아들에게 가만히 있으라고 야단치는 것은 고추를 떼어 버리라고 하는 것과 같다. 사내아이를 기르면서 고추가 없었으면 좋겠다고 바라는가?

 사내 아이를 이해 못하는 사람은 엄마뿐이 아니다. 학교 여선생님도 마찬가지다. 남자 형제가 없는 여자들은 사내아이의 고추를 모르는 것이다. 그래서 사내 아이들이 가만히 있지 못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아. 어째서 사내 아이들은 저 모양일까? '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 고추의 힘을 잘 모르는 사람이다.

 남자들에게는 대부분 '산만하다'는 특성이 있다. 책상 앞에 앉혀 놓아 봤자 오랫동안 얌전히 있지 못하는 것은 고추의 힘이 움직이라고 지령을 내리기 때문이다. 이것이 보통 사내아이의 모습이다. 그러므로  사내 아이를 키울때는 억지로 책상앞에 않혀두기보다는 차라리 충분히 에너지를 발산하게 도와주는 것이 좋다. '침착하지 못하다'고 한탄할 필요은 없다. 오히려 건강하고 남자답다고 기뻐해야 할 일이다.

예를 들면 산책 나간 개가 물 만난 물고기처럼 까불대며 짖는 모습을 보면서 자기도 모르게 입가에 웃음이 번지는 주인처럼 말이다. 

 예전에는 집 밖으로 한 발자국만 나가도 죄다 자연이요, 놀이터였다. 주택가 골목을 달리는 자동차도 없었다. 그런데 지금은 안전하게 놀 만한 장소가 고작해야 학교 운동장 정도다. 일본의 경우 최근 50년 동안 도심에서는 아이들 놀이터가 50분의 1 이하로 줄었다고 한다. 여기에다 변태적인 사건까지 겹쳐 밖에서 무리지어 노는 아이들이 오히려 눈치를 봐야한다.

나는 눈물로 호소하고 싶다. 이래서는 사내 아이들이 제대로 클 수 없다. 사내아이의 모든 근원인 고추의 힘이 자랄 수 없다. 그러므로 어른들은 아이들이 맘껏 뛰놀 수 있는 놀이터 환경부터 정비하는 데 힘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샬롯 메이슨과 함께하는 교육
카렌 안드레올라 지음, 임종원 옮김 / 꿈을이루는사람들(DCTY)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남편이 읽는 책이다. 두께가 6cm정도 되는 두꺼운 책이다.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있다. 대략 살펴 보았는데... 실생활 속에서 엄마가 가르치는 인생과 그 속에 녹아든 교육철학이 담겨 있다.

요즘의 실생활과도 깊게 연관되는데. 가령 음악. 미술 교육도 담고 있다. 홈스쿨링을 하며 나중에는 교육대학도 세워서 그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아동의 인권이 없던 시대에  아동의 가치를 세워서 공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실제 자녀를 양육하며 가슴으로 적은 책이다. 기독교적 가치관을 가지고 아이들을 교육하며 그에 따른 인격을 갖추고자 하는 엄마의 마음이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들이 많으니까.. 소모품도 많이 든다.

휴지도 새로 꺼내놓은지 얼마 되지않아서 여기저기서

휴지가 없다고 난리다.

다시 베란다 다용도실에서 꺼내 와야하니.. 아이들이 순간을 참지 못하고 자꾸만 키친타올을 뽑아다 쓰는 것이 아닌가?

 

물론 가장 싼 걸로 사긴 했지만  그래도 휴지를 돈주고 산건데.. 난 아까와서 잘 쓰지도 않는것을 이녀석들은 말 그대로 휴지쓰듯 쓰는 것이다.

순간적으로 화가나서,

 

"야!! 이놈들.. 이게 얼마나 비싼데.. 이걸 자꾸 뽑아가?  주유소에서 얻은 휴지 있잖아!! 그거 쓰라고 몇번 말해?"

 

늘 이렇게 이야기 하지만 말할때 뿐..

휴지 떨어지면 손이 부엌쪽으로 온다.

 

이날도 역시나 아이들이 키친타올을 뽑아간다.

 

"야...야.. 도데체 엄마가 몇번 말해야 알아듣는 거야? 엄마가 이거 쓰지 말라고 했잖아.. 엄마말 못알아들어?"

 

"........"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예선이가 입을 연다.

 

" 아 ~~ 엄마는 키친타올을 너무 좋아하는 구나.. 엄마 내가 이거 엄마 생일날 꼭 선물해 줄께~~ 오빠!! 오빠도 이거 선물해~~ 의환아...너도 꼭~~ 이거 사라~~"

 

" 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율 휴업일이라 학교도 안가고..

애 아빠가 애들 데리고 중랑천에 자전거타러 가려고 하니

의환이의 자전거가 없다.

얼마전 내가 너무 작고 낡아서 버렸기 때문이다.

예선이 자전거도 너무 작고.. 해서 예선이 자전거 하나 사주고. 예선이 타던거 의환이 주자고...

 

자전거포에서 하나 구입해 예선이 주고..

예선이 타던거 의환이를 주는데.. 불만없이 아주 좋아한다.

내심 자기도 하나 사달라고 조르면 어쩌나 걱정했는데..

자슥.. 기특하다.

 

바람을 넣어야 될 것같아서 쪼그리고 앉았다.

애 아빠가 바람 넣는 방법을 우쭐하며 나에게 설명한다.

워낙 자기 잘 난 맛에 사는 사람인지라 그려려니.. 듣고 가만히 있었는데.. 옆에 있던 의환이가 감탄사를 연발한다.

 

"와~~ 아빠는 모르는게 없네?.. 대단해~~정말 대단해.."

 

아이의 칭찬에 남편 어깨가 올라간다..

 

" 맞아~~ 아빠는 모르는게 없어.. 대단하지? ..."

 

"아빠.. 그럼 이것도 알겠네? 

세상에서 가장 빠른 벌레는 뭘까?

 

"가장 빠른 벌레?  ......뭐지?......뭘까?"

 

"에이~~ 바퀴벌레... 바퀴가 달렸으니까.. 엄청 빠르지..

뭐야.. 모르는게 있네~~  ..... 나 참..."

 

"헉@@@  "

 

의환이가 아빠한테 보기 좋게 한 방 강펀치를 날렸다..

고소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화에 월백하고 - 李兆年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제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배꽃이 하얗게 피어난 가지에 밝은 달이 비치니 꽃은 더욱 희어 보이고, 우러러 은하수의 위치를 살피니 시간이 한밤중이라.
배꽃 가지에 서려 있는 봄 뜻을 소쩍새 따위가 알겠느냐마는 나의 다정 다감한 마음도 무슨 병과 같아서 도저히 잠을 이룰 수 가 없구나.




이 조년 (1269 ~1343 )

고려의 문신 자는 원로(元老), 시호는 문렬(文烈), 본관은 경산, 충렬왕 20년에 향공진사로 문과에 급제, 비서승으로 왕과 함께 원나라에 들어갔다. 그 때 원나라의 왕유소, 송방영 등이 충렬왕 부자를 이간한 사건으로 화를 입고 먼 곳으로 귀양갔다가 귀국하여 13년간 고향에서 은거했다. 충혜왕이 즉위한 후 예문관대제학에 임명되고 성산군에 봉해졌으나 후에 왕이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으므로 벼슬을 내놓았다.

충혜왕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