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소리로 아들을 위대하게 키우는 법
마츠나가 노부후미 지음, 이수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는 딸과 두 아들을 키우는 본인에게 다시한번 아들의 이면을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열어주었다.
경험적으로 야단 맞을 짓을 만들지 않는 딸과 마치 야단맞는 것이 삶의 목표인 것처럼 여겨지는 아들을 동일시 여기고 같은 목표를 두고 양육했던 방식에서 한 발 물러서게 되었다.
오히려 산만하고 활동적인 아들을 보며 긍정할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저자가 어느 날 산만한 아들때문에 걱정이 되어 아버지에게 자녀의 이야기를 하며 한탄을 하자 그 아버지는 아무 걱정을 말라며 위로하는 대목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 아버지 말씀 " 그런 말 마라. 너는 얘보다 백배는 더 산만했다."
나역시 자녀의 문제를 산처럼 쌓아놓고 걱정하기 일쑤인데, 이 아버지의 말씀이 위로가 된다.
책의 감동되는 한 부분을 올려본다.
'들어가며'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까불까불 나대는 이 에너지야 말로 사내아이에게 없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힘이라고 생각한다.나는 이것을 고추의 힘'이라고 부른다.
고추의 힘은 재미를 추구하고, 찾고, 발견하게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멋진 아이디어를 얻는다. 고추의 힘은 남자의 모든 창조의 근원이다. 고추의 힘이 있기 때문에 남자는 재미있는 일을 생각해낸다. 그리고 고추때문에 늘 마음이 흐트러져서 무의미한 일을 되풀이 하기도 한다. 사실 사내아이들은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산만하다는 이유로 야단을 많이 맞는다. 하지만 한시도 가만있지 못하는 아들에게 가만히 있으라고 야단치는 것은 고추를 떼어 버리라고 하는 것과 같다. 사내아이를 기르면서 고추가 없었으면 좋겠다고 바라는가?
사내 아이를 이해 못하는 사람은 엄마뿐이 아니다. 학교 여선생님도 마찬가지다. 남자 형제가 없는 여자들은 사내아이의 고추를 모르는 것이다. 그래서 사내 아이들이 가만히 있지 못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아. 어째서 사내 아이들은 저 모양일까? '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 고추의 힘을 잘 모르는 사람이다.
남자들에게는 대부분 '산만하다'는 특성이 있다. 책상 앞에 앉혀 놓아 봤자 오랫동안 얌전히 있지 못하는 것은 고추의 힘이 움직이라고 지령을 내리기 때문이다. 이것이 보통 사내아이의 모습이다. 그러므로 사내 아이를 키울때는 억지로 책상앞에 않혀두기보다는 차라리 충분히 에너지를 발산하게 도와주는 것이 좋다. '침착하지 못하다'고 한탄할 필요은 없다. 오히려 건강하고 남자답다고 기뻐해야 할 일이다.
예를 들면 산책 나간 개가 물 만난 물고기처럼 까불대며 짖는 모습을 보면서 자기도 모르게 입가에 웃음이 번지는 주인처럼 말이다.
예전에는 집 밖으로 한 발자국만 나가도 죄다 자연이요, 놀이터였다. 주택가 골목을 달리는 자동차도 없었다. 그런데 지금은 안전하게 놀 만한 장소가 고작해야 학교 운동장 정도다. 일본의 경우 최근 50년 동안 도심에서는 아이들 놀이터가 50분의 1 이하로 줄었다고 한다. 여기에다 변태적인 사건까지 겹쳐 밖에서 무리지어 노는 아이들이 오히려 눈치를 봐야한다.
나는 눈물로 호소하고 싶다. 이래서는 사내 아이들이 제대로 클 수 없다. 사내아이의 모든 근원인 고추의 힘이 자랄 수 없다. 그러므로 어른들은 아이들이 맘껏 뛰놀 수 있는 놀이터 환경부터 정비하는 데 힘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