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人間本性-關-論考, A Treatise of Human Nature]  

영국 철학자 데이비드 흄(David Hume)의 철학 저서. 
 발간연도  1739∼1740년 
   
 근대 영국 경험론을 완성한 저서로 세 권으로 구성되었다. 1권 《오성에 관하여》와 2권 《정념에 관하여》는 1739년에 출판되었고, 3권 《도덕에 관하여》는 그 이듬해에 출판되었다. 잘 알려진 제목인 《인간 오성 연구》는 1권의 재판으로 1751년에 출판되었고, 《도덕 원리 연구》는 3권을 개작하여 같은해에 출판한 것이다. 이 책에서 흄은 오성, 정념, 도덕의 문제들을 통해 모든 학의 토대인 인간학을 경험적으로 관찰하여 그 위에 안전한 학의 체계를 세울 것을 의도한다. 이를 위해 흄은 뉴턴의 과학적 방법론을 인간 본성의 연구에까지 확장시키고, 로크·버클리 등의 경험주의 철학의 진전을 이끌어 낸다.

《오성에 관하여》는 인간 정신의 모든 지각을 인상과 관념으로 구분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인상은 감각적 대상의 심상을 가질 때나 정념 또는 정서를 느낄 때의 정신의 지각이다. 관념은 인상의 희미한 심상으로 인상에서 유래한다. 이러한 구분은 로크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본유관념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제1 명제를 나타낸다. 오성은 기억과 상상력의 결합 활동에 의해 이러한 단순한 지각 표상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관념도 갖는다. 상상력은 결합의 능력으로서 인과성, 유사성, 인접성의 성질에 따라 하나의 관념을 다른 관념들과 연합시킨다. 실체나 본질, 원인과 결과와 같은 관념들은 인상으로부터의 단순 관념들을 상상력이 연합한 복합관념들이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어떠한 필연적 연결에 대한 관념은 없다.

필연성에 대한 관념은 대상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습관과 반복에 따른 심리적 반영이다. 그러므로 어떤 것이 반드시 그러하다는 명제를 지식으로 인정할 수 없다. 우리는 관념의 생생함의 정도에 따른 신념만을 하나의 명제나 관념에 대해서 가질 뿐이다. 흄은 이러한 논의를 통해 대상에 대한 필연적인 지식을 가질 수 없다는 회의주의적 결론에 이른다. 그러나 흄은 극단적이거나 독단적인 회의주의를 비판한다. 흄의 결론은 관찰되고 경험된 사실들을 충분하게 신뢰할 수는 없지만 그것들로부터 추리의 안내를 받아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정념에 관하여》에서는 정서적 측면에서의 인간의 본성을 분석한다. 흄은 정념을 직접적인 것과 간접적인 것으로 구분한다. 전자는 대상의 경험에서 직접 발생하는 고통, 쾌락과 같은 것이고 후자는 인상과 관념의 이중적인 관계에서 생기는 사랑, 미움, 자만, 겸손과 같은 것이다. 흄은 간접적 정념들을 불러일으키는 원인들을 1권에서와 마찬가지로 인상과 관념들의 연합의 원리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필연성과 자유의지 역시 1권에서 부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다. 정념과 행위에 대해서만 특별하게 필연성이 부여될 이유가 전혀 없으며 따라서 최초의 원인으로서의 자유의 개념은 성립하지 않는다.

《도덕에 관하여》는 도덕적 구별의 원천이 이성이 아니라 쾌나 불쾌에 대한 느낌에 있다는 것에 대한 논의로부터 시작한다. 정의의 기원도 이와 유사하다. 개인은 사욕을 위해 사회를 필요로 하고 그 사회를 존속시키기 위해 소유권과 규제하는 관습을 인식한다. 이것은 공통의 이익에 관한 일반적 인식이며 이를 통해 정의의 근본 법칙들이 나타난다. 흄은 정의가 사욕에 기초한 인간의 관습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덕으로 분류한다. 그러면서도 자연법과 유사한 것으로 인정하기도 한다. 자연법에 대한 복종의 의무는 정부를 통해 개인에게 관철된다. 정부는 유용하다는 느낌에 기초한 동의의 결과이다. 그러므로 정부에 대한 충성의 의무도 유용성에서 기인한다.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의 3권은 방법론과 철학적 입장에서 일관성을 가지고 인간 본성에 대한 체계적 설명을 한다. 이 책은 인식론, 윤리학, 사회철학 등의 철학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근대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은 칸트가 그의 비판철학을 계획하도록 그에게 강력한 영감을 불어넣었다. 또한 도덕적 정당화를 유용성에 결부시킴으로써 공리주의의 출현에 기여했다. 그의 철학은 그 영향력만큼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는데, 대표적인 것이 회의주의와 자연주의적 해석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꼬마요정 2004-07-27 2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이 책.... 지난 학기 때 리포트로 내야하는데, 결국 구하지 못해 숙제를 못했더랬죠...ㅜ.ㅜ 아~ 서글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