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치아에서의 죽음 Mr. Know 세계문학 38
토마스 만 지음, 홍성광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토마스만의 나이 37세에 쓰여진 이 단편은 그의 20대에 가졌던 동성애적 경험과 그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가로 살게 될 그 자신의 인생에 대한 조망을 보여준다. 
 
성공이라는 것, 존경과 자신의 분야에서의 권력. 그 때 예술가는 결국 그의 생에 결함되어있는 어떤 것 때문에 길을 떠난다. 괴테의 이탈리아로...그리고 우연히 만나는 그리스 로마적 아름다움의 이상. 걸어다니는 하얀 조각상과 같은 미소년. 작가는 짝사랑에 빠지고 그 아름다움을 지상의 것으로 구현하다 콜레라로 죽음으로 이끄는 소년의 배웅을 받으며 죽음을 맞는다. 

작가에 의해 [품위손상의 노벨레적 비극]이라 불린 이 작품은 이성의 세계를 조명하는역할을 담당해온 예술가에게 죽음으로 맞바꿀 수 있는 감정과 비극의 영역이 존재함을 보인다. 그는 이것이 더 행복했고 그가 평생 쌓아온 세계보다 더 큰 희열을 안겨준다고 느꼈다. 결과는 죽음이다. 아폴론적 세계와 디오니소스(바쿠스)적 세계의 충돌에서 그 중간에 섰던 자는 아센바흐처럼 재가 되어버린 바쿠스가 될 뿐이다. 쇼펜하우어는 의지의 세계에서 예술만이 구원이라고, 니체는 비극만이 아폴론이 지배하는 세계에서의 진정한 예술이라고 불렀다. 

어떤 불륜은 감정의 쓰나미에서, 일상의 지겨움에서 비롯된다. 그 때 추문과 추락에 대한 두려움은 잊혀지고 인간은 과감히 죽음으로 치닫는다. 고도로 계산된 예술기법들과 감정을 건드리는 상황설정들. 우리 시대의 이런 예술적 바그너와, 현재의 세상이 아름답고 균형있으며 품위롭고 따뜻란 것임을 세뇌시키는 주위의 많은 프리드리히 황제에 대한 역겨움은 이해하지만 과연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는 존재라면 이런 선택을 할까? 마취되어진 바쿠스의 축제도, 세상이란 아무 탈 없는 곳이라 출세만 하면 성공한다는 성공시대의 가식도 진정 자신을 신의 자녀로 여기는 사람에게 또다른 야바위로 보이기 때문이다. 예술이라는 이름이 일탈과 동일시되고 이성이 기득권의 안정과 혼동된다면 이런 착각은 여전히 끝나지 않을 듯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rine 2009-10-23 2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 소설을 영화로 먼저 봤는데 타치오 역으로 나온 스웨덴 아역 배우가 얼마나 예쁘던지! 소설 속의 묘사와 정말 똑같아요. 영화 안 보셨으면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