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수유+너머'의 세미나라는 것에 처음으로 참석했다. 수유+너머라는 곳 자체는 이미 '안티-오이디푸스'와 '박노자 특강'을 들었던 경험이 있는 터라 나에게는 얼마간 익숙한 공간으로, '자본주의의 외부'를 지향하고 '꼬뮨'을 표방하는 독특한 연구실 분위기가 매력적인, 책벌레 엘프들이 화사하고 화기애애한 유토피아 분위기를 자아내는 '학문의 리벤델'이라 할만한 곳이다. 이곳에서는 이진경, 고병권, 고미숙 등의 '스타 인문학 저술가'를 수시로 만날 수 있는데, 나는 그들과 마주칠 때마다 '슈주'라도 만난 여중생처럼 가슴 설렘을 느끼지만, 아무런 표정과 진로의 흔들림없이, 마치 전봇대를 지나치는 것처럼, 스쳐 지나가곤 한다.
나는 '수유+너머' 연구자들의 책도 여러권 읽었고, 그들의 무모하리만치 참신한 학문공동체 실험에, 격려해 주고픈 마음과 사모하는 마음이 자발적으로 샘솟곤 하는 사람이긴 하지만, 그들의 학문적 성취도에 대해서는 아직 고개를 갸우뚱하는 쪽이다. 그 이유중 가장 먼저 생각되는 것은, 그들의 연구가 심하다 싶을 만큼 들뢰즈 편향적이라는 점, 그래서 그들이 펴 낸 대부분의 책들에서 들뢰즈적인 용어가 범람한다는 사실, 그리고 그 결과로 정작 그들 자신의 목소리는 그리 크게 들리지 않는다는 현실. 뭐, '들뢰즈학파'라고 한다면야 크게 문제될 일도 아니겠지만, 들뢰즈의 직계 제자도 아닌 이들이 들뢰즈의 중력장안에 포획된 채 상대적으로 좁은 학문계를 공전하고 있다는 것은, 그들을 '학파'라기보다는 '종파'로 불러야 하지 않을까, 하는 오바스러운 생각마저 들게 한다. 어쨌거나, 나 역시 그들의 로렐라이같은 노랫가락에 홀려서 '수유+너머'를 뻔질나게 드나들고 있으니, '들뢰즈종파의 동자승' 정도로 여겨진다고 해도 할 말은 없다. 결국 세미나의 주제도 들뢰즈의 책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이고 말이다.
어제는 2장 '표현으로서의 속성'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눴다. 실체(substance)와 그의 표현으로서의 속성(attribute), 그리고 양태(mode)에 관한 철학적 이야기들. '실체'는 전혀 그 실체가 잡히지 않았고, '속성'이 어떻게 펼치고 접으면서 실체를 표현하는지에 대해 토론하면서 내 머리는 전자구름의 양자상태가 되어 버렸지만, 어쩜 그리 뜬구름잡는 형이상학적 사유가 수천년을 끊이지 않고 끝없는 논쟁과 이론을 만들어 내며 이어져 왔는지를, 사탕으로 얻어 맞은 듯하게 깨달았다. 왜냐하면, 고리타분해 보이던 형이상학적 사유는 여러 사람의 논쟁과 토론을 거치면서 흥미진진한 도파민으로 변용되어 뇌피질을 간질이게 되고, 철학자는 이에 중독되기 때문이다! 세 시간의 세미나 진행 중 거의 한 시간을 '실체가 무엇인지'에 대해 토론하였는데, 결국 당연하게도 결론은 얻지 못하였고, 나는 지금도 그 '실체'의 철학적 의미에 대해 달콤하게 번민하고 있는 중이다. 빨리 <에티카>를 통하여 스피노자에게 물어보러 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