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가 사랑한 수식
오가와 요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이레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로운 책을 한권 읽을 때 마다 나의 우주엔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는 한다. 

그 별들은 아주 커다랗게 자라 내 우주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도하고 너무나 작아서 애써 기억하지 않으면 찾지 못할 정도인 경우도 있다, 어떤 별은 망각이라는 블랙홀에 빨려들어가 사라져 버릴때도 있고, 때론 뾰족뽀족 하기도하고, 추하기도 하고 어떤 별은 찬란하게 빛을 내품어 내 우주를 환하게 밝혀주기도 한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은 내게 어떤 별일까?

 책 이야기를 하기 전에 영화 이야기를 먼저 하고싶다. 내게 수학이란 학문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을 일깨워준 한편의 영화 [콘택트],  정확하게는 기억나지 않지만 이 영화에서 수학이야 말로 우주의 절대진리이며 외계인이 있다면 언어는 달라도 수학이라는 학문으로 그들과 소통할 수 있을꺼라는 대사가 나온다. 이 대사에 깊은 감명을 받은 나는 선천적으로 저주받은 수학치인 내 머리를 원망했다. 이렇게 아름다운, 위대한 학문인 수학을 못하는 것이 한스러울 정도였다. 그래서 수학이란 학문은 나에겐 성스러운 학문으로 여겨져 왔는데 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읽으며 이 영화가 계속 떠오름과 동시에 나의 수학에 대한 신앙은 더욱 더 커졌다.

교통사고로 뇌를 다쳐 17년 전 부터 기억을 80분 밖에 유지 할 수 없는 박사가 사랑한 수식. 이 소설에는 많은 수학공식과 수학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데 전혀 어렵지 않다.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라도 듣는 기분으로 수학에 관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박사도 나처럼 수학을 신성하게 여기는 사람이다. 온 우주를 수학으로 표현 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인 것이다. 박사에게 세상은 수학이고, 박사는 수학을 사랑한다. 그러니까 박사는 세상을 사랑한다. 온 우주를 반짝 거리는 눈으로 바라보며 그 안에 담긴 수학기호를 찾아내고 수학적 의미를 찾아내어 기쁨에 몸을 떠는 행복한 사람이다.

나에게 이 책은 수식으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별이다. 이 별에서는 따뜻한 빛이 은은하게 뿜어 나오고 있다. 그 별 한가운데 박사와 가정부, 루트가 쇼파나 바닥에 느긋하게 앉아 주위를 둘러보며 싱글벙글 웃고 있다. 어떤 수식을 가르키며 진지한 토론도 하고, 가끔 야구중계를 들으며 열기를 띄기도 한다.

아, 한가지 소망이 있다면 이 별 안에서 만큼이라도 박사의 기억이 오래오래 유지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굳이 여행기가 아니더라도 읽으면 떠나고 싶어지는 그런 책들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우리는 몰바니아로 간다- 지도에 없는 나라로 떠나는 여행 안내서
산토 실로로 지음, 전지나 옮김 / 오래된미래 / 2005년 6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5년 07월 20일에 저장
품절
로베르네 집- 파리 리볼리가 59번지, 유쾌한 무법자들의 아틀리에
장은아 지음 / 시공사 / 2003년 4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9월 5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05년 07월 14일에 저장

파리의 보물창고- 공상 소년소녀가 떠나는 파리 뒷골목 탐험-보물창고 시리즈
박은희 글, 이경인·박은희 사진 / 브이북(바이널) / 2003년 11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05년 07월 14일에 저장
절판

파리 예술카페 기행- 진정한 파리의 속 모습
최내경 지음 / 꿈의날개(성하) / 2004년 5월
9,000원 → 8,100원(10%할인) / 마일리지 450원(5% 적립)
2005년 07월 14일에 저장
절판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식 e - 시즌 1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지식e 1
EBS 지식채널ⓔ 엮음 / 북하우스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퇴근하고 멍하니 TV를 돌리다. EBS의 지식e를 우연히 보게되었습니다.

[살아남은 자의 슬픔]

 화성으로간 탐사로봇 스피릿과 오퍼투니티에 관한 내용이었습니다.

엄청난 환경의 변화와 잦은 고장등에도 불구하고 두 로봇은 묵묵히 자신들의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절망적인 순간에 스스로 55번이나 재부팅하여 다시 묵묵히 일을 해냈다는

로봇의 모습을 상상하며 눈물이 났습니다.

과학자들은 그들이 3개월간 밖에 일을 할 수 없을것이라고 예상했지만,

그들은 3년이 지난 지금도 화성에서 묵묵히 자신들의 일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나오는 노래(fly me to the moon)을 들으며 벅찬 감동에 한동안 TV앞을 떠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 지식e 가 책으로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당장 서점으로 달려갔습니다..

같이 간 언니는 제가 열변을 토하며 [살아남은 자의 슬픔]에 대해 이야기하자 당장 책을 사들었죠.

집으로 돌아와 책을 읽던 언니가 눈물을 글썽이며

이 아저씨의 얼굴이 너무 해맑아서 슬프다며 훌쩍 거렸습니다.

[커피 한잔의 이야기] 에서 99%의 이익은 빼앗기고  1%의 이익만을 얻는 

커피 농장 일꾼의 주름이 자득잡힌 활짝 웃는 얼굴이었습니다.

이 세상엔 정말로 알아야 할 지식이 있습니다.

알지 못했으면 후회했을 지식이 이 책엔 가득 있었습니다.

저는 아직도 모르는 것이 너무나 많은것 같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아빠 2008-06-09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식e>에 관한 설문조사로 도움을 받고 싶은데요
http://blog.naver.com/image2two 에 오셔서
내용을 확인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호숫가 살인사건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백야행'을 읽고 히가시노 게이고님께 푹 빠져서 요즘 그가 쓴 작품들을 찾아 읽고 있다. (사실 아직 백야행과 게임의 이름은 유괴, 호숫가 살인사건 밖에는 읽지 못했지만)

 사실 나는 눈치가 빠르달까, 복선을 잘 읽는달까. 책이나 드라마, 영화를 보다가. 아, 앞으로 이렇게 되겠다. 싶으면 그렇게 되는 경우가 곧잘 있어서 약간 자만심에 빠져 있었다.

 그런데 이 소설의 반전....정말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범인(?) 이 드러나는 대목에서 머리가 순간 띵 해지는 느낌, 그리고 순식간에 얽혀있던 실타래가 후르르륵 풀리는 쾌감과 당혹감을 느끼며, 아아 역시 히가시노 게이고야. 라고 머리를 끄덕일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번역가인 권일영님이 옮긴이의 말에 적어놓으신 콤팩트한 소설이라는 표현이 이해가 되었다. 

 이 작가는 정말 '한방'을 잘 날리는 작가 같다. 한 줄, 한 대사에 사람을  전율시키는 능력이 있달까?  물론 내가 이 작가에 대해 그렇게 많이 아는건 아니지만 이제까지 읽은 소설들을 보면 그런 느낌이 든다. 

 정말 치밀하게 잘 짜여진 거미줄 위에서 실컷 해매이다 풀려난 느낌이다.

  여러분도 히가시노 게이고가  쳐 놓은 거미줄 위를 해매이고 싶다면 이 소설을 읽으시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야행 1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 태동출판사 / 200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알라딘을 돌아다니다. 어떤 분이 추천하시는 것을 보고 이 책을 알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별 기대를 안 하고 읽었는데 1권을 읽고, 그 뒤에 도서관에서 2, 3권을 빌려 앉은 자리에서 쉬지도 않고 다 읽어 버렸습니다.  책을 다 읽은 후에도 한동한 멍 하니 책속에 빠져들어 있었습니다.

 오싹한 러브 스토리 라고 할까요?

 두 주인공 료지와 유키호는 책속에서 단 한번도 만나지 않습니다. 서로 대화를 나누는 장면도 단 한번도 없습니다. 

그런데도 러브 스토리입니다.

 피로 얼룩지고, 고개를 돌려 버리고 싶은 처절한 사랑이라고 할까요?

 두 사람은 줄곧 하얀 어둠 속을 걷고 있습니다. 그 어둠을 밝혀주는 것은 료지에겐 유키호 였고 유키호에겐 료지였습니다. 두 사람은 같이 손을 잡고 걸을 수는 없었지만 결국엔 함께 걸어가고 있었던 거겠지요.

 오랜만에 이야기에 푹 빠지게 해준 작품이었습니다. 모든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시진 않겠지만 읽어서 후회하진 않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