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 Ali: Fear Eats the Soul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행복은 항상 달콤하지만은 않다'

 
영화 시작과 함께 등장하는 구절이다.

누구도 다른 사람의 행복을 규정할 수 없고,

사람은 자신의 행복을 추구할 자유, 권리가 있다.

 

하지만, 우리 삶 속에는 필요 이상의 너무 많은 시선이 존재하고,

그것은 근거없는 편견과 무의식으로 쉽사리 버려지지 않는다.

  

'천국의 한 조각이라도 사야겠어요'
                       
                           - 영화 속 에미의 대사 
  
  
젊은 아랍인 노동자 알리와 홀로 외롭게 살아가는 60대 여성 에미의 사랑을 보여주고 있는 이 영화는 중간마다 그 둘을 고립시키는 독일인들의 시선을 의도적으로 강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화면은 오랜 시간 침묵한다. 
  
무엇보다 그들이 결혼 후에 더욱 사람들로부터 배제 당하게 되자
 
기분 전환을 위해, 잠시 여행을 다녀온 후의 내용 전개는 더욱 씁쓸하다.
 
 
갑자기 사람들은 호의를 베풀기 시작하는데,
 
그것은 모두 자신들의 편의를 위한 것이였고,
 
이는 인간의 본능적 이기심을 불편할 정도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영화에서는 거울을 이용해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비추는데,
 
이는 사람들의 삶을 틀 지우는 것이 결국은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의 문제임을  말하고 있다.
 
 
영화에서처럼 때론-아니, 일상적으로- 인간의 적은 인간이 되기도 한다.
 
 
남에 대한 배타성과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아도 이유없이 경멸하는 시선은
 
결국 한 사람(알리)을 생명이 위태로울 지경까지 몰고 가고,
 
그저 둘의 행복을 위해 시작된 착한 사랑을 뒤흔든다.
 
30년이 넘은 영화인데도, 왜 이 영화의 메시지는 나를 불편하게 하는가.
 
 
다른 사람의 생활에 시시때때로 간섭하지 말고,
 
자신의 행복을 가꾸는 데 모두가 진심을 다 한다면,
 
서로를 파괴하고 고통지우는 보이지 않는 벽과 폭력은 사라지지 않을까.
 
 
PLUS)
 
1) 영화의 원제목 'Angst Essen Seele Auf'는 알리가 자기 나라 속담을 서툰 독일어로 표현해 불안해 하는 에미를 위로한 말이다. 하지만 정확하게는 'Angst isst Seele auf '가 맞는 표현이라고 한다. 우리 영화 제목 <말아톤>처럼, 의도적으로 표기를 틀리게 해서, 알리가 독일에 결코 편입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설정이다.
 
2) 실제, 영화에서의 엘 헤디 벤 살렘(알리역)은 파스빈더 감독과 동성애 연인 관계였다고 한다. 하지만, 그 역시 실제로 이방인의 삶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베를린에서 세 명을 찌른 뒤, 감옥에서 자살했다고 한다.
 
3) 감독 파스빈더는 30대 중반에 요절할 때까지 40여편을 남겼고, 항상 미국의 영화감독 존포드보다 더 많은 영화를 찍어야 한다고 생각했단다. 이 영화에서는 에미의 사위역으로 출연해, 경멸적인 시선과 독설을 던지는 역을 소화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