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현의 연애
심윤경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1월
평점 :
몇년 전 <달의 제단>을 읽고, 나는 작가의 문체에 압도당했던 기억을 가지고 있다. 야들거리며, 감수성에 기댄 여타 여류작가들의 비슷비슷해 보이는 문체와 달리 <달의 제단>에서의 작가의 문체는 힘이 넘치고, 단단하게 나를 거침없이 이끌었다.
그리고, 뒤늦게 그녀의 후속작 <이현의 연애>를 방금 전 갈무리했다.
우선, 전체적 느낌은, 지난 번 작품에 비해, 내가 예전에 느꼈던 놀라움에 다가가진 못 하고 있어 아쉽다는 것.
물론, 영혼을 기록하는 여자와 그녀를 사랑한 남자의 이야기, 중간중간에 그녀의 기록으로 묶인 단편들, 뒤의 생각 못한 반전 등은 여전히 독자로 하여금 글에서 손을 떼지 못 하게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아쉬운 점
첫째, 나는 이 작품을 통해 작가가 독자와 온전히 소통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 정확히 잡아낼 수 없다.
둘째, 나의 취향 탓이겠지만, 이진과 이현의 인물 설정이나 묘사는 비현실적인 느낌이 강했다. 그래서 감정이입하기 힘들었고, 과장된 인물묘사, 작위저이고 극단저인 설정에 오히려 중간중간 식상함을 느끼기도 했다.
대신 '빨치산, 민주투사' 하다 못 해 '사투리 능수능란하게 구사하게 지방에서 태어나지도 않은' 자신의 너무나 단순한 인생 이력을 약술하며, 소설가라는 직업과 자신 사이에서 고민하는 작가의 말이 더 좋았다면 무리일까.
오히려 이번 작품은 소설가로서, 기록을 해나가는 -이진역시 이현이 보기에는 그녀의 과장과 허구로 기록을 하고 있었으므로- 작가 자신의 삶의 방식 대한 고백으로, 알레고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록을 함은 때로 누군가를 치유하는 것이고, 또 누군가에게는 자신의 삶 자체일 수 있다. 작가는 너무나 단순한 자신의 삶에서 소설로 소재삼을 것이 없음을 한탄하면서도, 이진처럼 끊임없이 무언가를 쓰는 행위와 일상이 자기 자신이라고 고백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앞서 말한 두가지 아쉬움이 남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한 그녀의 필력과 기록에 대한 결연함은 독자로서 계속 지지하고 싶은 것이고 다음 작품을 기다리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