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반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번역하면서 붙여진 제목이 좀 그저그런 책으로 보이긴 하지만,
원래 영국에서는 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소설이다.
알랭 드 보통의 처녀작으로 그가 스물다섯에 쓴 글인데,
한 남녀가 만나서 이별하는 순간까지
너무나 평범한 이야기 속에서도
소설이라는 형식을 넘어서는 여러 장치들과
철학적인 고민들이 두루 섞여 있는 멋진 책이다.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내 옆에 있는 사람 내지는 과거의 자신의 기억과 견주어 보며,
아!! 하고 깊은 공감을 하게 되는 부분도 적지 않다.
여기에 기억에 남는 몇구절을 옮겨본다.

-<이상화> 중
"사람들을 꿰뚫어보는 것은 아주 쉽다. 하지만 그래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엘리아스 카네티의 말이다. ~~~ 우리가 가끔 사랑에 빠지는 것은 습관화되다시피 한
맥빠지는 냉소주의에서 벗어나고 싶기 때문이 아닐까?
모든 갑작스러운 사랑에는 사랑하는 사람의 장점을 의도적으로 과장하는 면이 있는 것이 아닐까?
그런 과장을 통하여 어떤 주어진 얼굴, 잠깐이나마 기적적으로 믿음을 가지게 된 얼굴에
우리의 에너지를 집중함으로써 환멸로부터 벗어나려는 것이 아닐까?
- <친밀성> 중
우리는 침묵의 시간을 가지는 모험도 할 수 있었다.
우리는 이제 편집증적인 수다쟁이들, 고요가 배신을 낳을까봐
대화를 중단하기를 꺼리는 수다쟁이들이 아니었다.
우리는 상대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 믿음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런 믿음이 없을 때 생기는 두려움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유혹은 이제 낡은 것이 되었다.
- <수축> 중
"내가 저 여자처럼 얼굴에 커다란 점이 있었어도 나를 사랑했을 것 같아?"
그 질문에는 "그렇다" 는 대답에 대한 갈망이 숨어 있다.
몸이라는 세속적인 표현,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비참하게도
어떻게 바꾸어볼 수 없는 표면보다 높은 곳에 사랑을 놓아달라는 요구이다.
내가 너를 사랑하는 것은 너의 재치나 재능이나 아름다움 때문이 아니라,
아무런 조건없이 너이기 때문이다.~~~~
나는 당신이 내 얼굴보다는 머리를 칭찬해주기 바란다.
그러나 꼭 얼굴을 칭찬해야겠다면, (정적이고 피부조직에 기초를 둔) 코 보다는,
(운동신경과 근육이 통제하는) 미소에 대해서 무슨 말을 해주기 바란다.~~~
내가 너한테 약해 보여도 될 만큼 나를 사랑하니?
모두가 힘을 사랑한다.
하지만 너는 내 약한 것 때문에 나를 사랑하니?
이것이 진짜 시험이다.
너는 내가 잃어버릴 수도 있는 모든 것을 벗어버린 나를 사랑하는가?
내가 영원히 가지고 있을 것들 때문에 나를 사랑하는가?
- <선악을 넘어서> 중
사랑의 거부가 종종 도덕적 언어, 옳고 그름의 언어, 선과 악의 언어의 틀 안으로 들어온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마치 거부하거나 거부하지 않는 것, 사랑하거나 사랑하지 않는 것이 당연히 윤리의 한 지류에 속하는 것처럼.
거부를 하는 사람에게는 악하다는 딱지가 붙고, 거부를 당한 사람은 선의 화신이 된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사랑의 거부가 아무리 불행한 일이라고 하더라도, 사랑을 이타성과 동일시하고
거부를 잔인함과 동일시할 수 있을까?
내가 클로이를 사랑하는 것은 도덕적이고, 그녀가 나를 거부하는 것은 비도덕적일까?
그녀가 나를 거부하면서 죄책감을 느낀 것은 사랑을 내가 이타적으로 그녀에게 준 것으로 보기 때문에 생긴 일이었다.
나의 선물에 이기적인 동기가 있었다면, 클로이도 똑같이 이기적인 동기에서 관계를 끝내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사랑의 종말은 이타주의와 이기주의,
도덕성과 비도덕성 사이의 충돌이라기보다는 근본적으로 이기적인 두 충동 사이의 충돌로 나타난다.
그림) 뭉크 <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