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작가가 말했어.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그 공간에는 반응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와 힘이 있다.

 우리의 성장과 행복은 그 반응에 달려 있다."

 그래서 영어의 responsible이라는 것은 response-able이라는 거야.

 우리는 반응하기 전에 잠깐 숨을 한번 들이쉬고 천천히 생각해야 해.

 이 일은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난 일이지만, 나는 이 일에 내 의지대로 반응할 자유가 있다. 고.

 
                                                                                              - 즐거운 나의집, p179에서


 

 언젠가 집으로 가는 버스 안에서 공지영씨의 새 소설이 나왔다는 라디오 방송을 들은 적이 있다.

 
그리고 언제였던가.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를 읽고,

 그 후에 다른 여류 작가들의 소설들을 집중적으로 읽다가,

 손을 놓아버린 게..

 그리고, 시험이 끝나고 서점에서 베스트셀러란에 어느 순간 올라 있는 

 공지영씨의 <즐거운 나의 집>을 선택했다.

 

 무엇보다 이 소설은 공지영씨 자신이 세 번 이혼을 했고, 서로 성이 다른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상황과 연결되면서, 소설이지만, 자전적 수필같은 느낌을 주는 부분이 적잖다.

 (그리고 그런 사실이 이 소설이 대중들로부터 호기심을 끄는 부분도 클 것이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건 소설이고,

 다만 작가가 이 소설을 통해 새로운 가족의 모습을, 그리고 한 편으로는 

 말하기 힘든 자신의 이야기를 녹여 독자들에게 다가가고자 했음은 사실일 것이다.

 

 서술자가 작가로 등장하는 엄마가 아니고, 그녀의 큰딸을 내세우고 있는 부분은 신선하다.

 만약, 서술자 자체가 엄마였다면 이야기 속에서 얼마나 많은 넋두리가 묻어나왔을 것인가, 

 생각만해도 아찔하다.

 

 다만,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은 처음 읽을 때의 신선함은 뒤로 하고,

 비슷한 내용이 이야기 속에서 반복되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뭔가를 독자들에게 알려줘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물론 작가 스스로가 그런 의도를 강하게 드러내려 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어쩌면 우리 일상자체가 비슷한 말과 사건들의 반복이고, 작가는 그냥 자신과 주변을 소재 삼아 어깨의 힘을 빼고 그려내려고 했던 것일 테니까..)

 
하지만, 부드러운 문체와 중간중간에 들어 있는 유머는 글을 편하게 읽게 이끌고 있었다.

(물론 가끔 과장된 대화, 묘사가 거슬리기도 했지만....)

 
경쾌하게 소설을 읽고 싶은 독자라면, 공지영씨의 이 소설을 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다만, 공지영씨 자신의 사생활을 이 소설을 통해서 캐내고 싶은 욕심을 지닌 독자라면 말리고 싶다.

 
그럼 얼마 읽지 않고, 소설이 재미없다고, 덮어둬 버릴 확률이 높으니까...

 
 그냥, 공지영씨가 자신의 가족의 이야기를 소담하게 그리고 무게를 빼어,

 감정적이고 어리숙한 한 엄마와 그 주변의 가족들 이야기를 에피소드처럼 보여줬다고 하는 게 

 적절할 것이다.

 

 그리고, 어느 누구에게도 이제 '가족'의 정석을 강요할 수는 없다는 것도 기억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