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쿄 타워
에쿠니 가오리 지음, 신유희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 도쿄타워를 좋아했다
두 남자 주인공인 오카다 쥰이치와 마츠쥰도 매력적인 탓도 있었지만, 몽환적인 노라존스의 음악과 영상이 무척 아름다웠다. 에쿠니 가오리의 소설에 딱히 공감한 적도 없으면서 충동적으로 이 책을 구입한 것은 그 때문이었다. 아니, 사실은 영화로 이미 봤던 내용 또 볼 것 있나 싶기도 하고 책으로 읽어서 실망할 것 같은 마음에 한 번도 읽으려 들지 않았었는데. 어쩌면 밀린 숙제를 어서 해치우려는 기분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사랑만 먹고 사는 듯한 등장인물들
누군가 에쿠니 가오리의 소설을 크게 폄하하면서, 마치 할 일 없이 사랑놀음만 하는 중년 아줌마들이 좋아할만한 내용이라는 식으로 리뷰를 쓴 걸 본 적이 있다. 작가 자체에 대해 큰 애정도, 증오도 없었던 나는 그러고 보니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군. 하고 지나갔었는데. 솔직히 <도쿄타워>의 등장인물 역시 그렇다. 스펙쌓기나 자아찾기에 들어선 성실한 대학생들을 떠올려봤을 때, 여기 나오는 남자 주인공 두 사람은 온통 연애에만 정신을 빼앗겨서 산다. 비밀 연인들끼리 건네는 대사도 아름답긴 하지만 유리같이 허무하다. 책임감도 없고, 쾌락적이고, 허세만 부리는 것 같아 어이가 없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래. 사랑에 빠졌으니까 어쩔 수 없지. 하고 이해가 되 버리는 부분도 있었다. 이런 사랑도 분명 있을 것이고, 공감하는 사람이 실제로 많기 때문에 그녀가 인기를 얻은 거겠지. 그 사람들 중에 내 자신이 포함된다는 부분은 부끄러우니까 살짝 숨기기로 하고.
|기억에 남는 문장
"음악적으로 생긴 아드님이네"
P.11
"자신의 일은 자신이 결정해라."
코우지는 아버지에게 그런 말을 듣고 자랐다.
"결정했으면 행동으로 보여라."
라는 말도.
머리가 좋다는 것은 다시 말해, 행동능력이다.
P.15
언제부터일까. 도대체 언제부터, 식욕끼지 잃는 상태가 되어버렸을까.
P.24
"사람과 사람은 말야, 공기로 인해 서로 끌리는 것 같아."
언젠가 시후미가 그렇게 말했었다.
"성격이나 외모에 앞서 우선 공기가 있어. 그 사람이 주변에 발하는 공기. 나는 그런 동물적인 것을 믿어."
P.36
키미코와의 그것은 키미코와 자신 사이에서만 성립한다는 생각이 든다. 두 사람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P.49
恋はするもじゃなくて、落ちるもの
P.54
토오루는 그 어디에도 속해있지 않은 자신을 비로소 발견했고. 그러한 -본래의 자신일 수도 있는- 자신이 마음에 들었다. 자연스럽고 자유롭고 행복했다. 그리고 그러한 자신은 시후미로 인하여 존재하고 있다.
P.58
시후미는 마치 작고 아름다운 방과 같다고 토오루는 가끔 생각한다. 그 방은 있기에 너무 편해서, 자신이 그곳에서 나오지 못하는 것이라고.
P.111
"갑자기 보고 싶어질 때 있지 않아? 오늘 만나는 줄 알면서도 오늘이 아닌 어제 보고 싶었어."
"보고 싶을 때 볼 수 없는 남자라니, 형편없어."
키미코
P.144
키미코와 함께 했던 이런저런 일들을 의식속에 가두어 둔 채 하루하루가 지나갔다.
P.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