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너도나도 지브리 풍 일러스트 만들기 열풍이다.
라고 시작되는 기사도 이미 너무 많이 읽었다. 끙.ㅡ.ㅡ
본래 신문물에 대한 관심보다 의심이 앞서는 타입이라 '챗GPT? 흥 그게 뭔데!' 하며 무시했지만,
너도나도 지브리 프사를 올려대는 통해 나도 그만......
접속해보았다.

램프의 요정 지니처럼 '무엇을 도와드릴까요?'라는 흑백의 글씨와 대화창 하나가 덜렁 등장한다.
이건 약간, 문화적 차이인가?
로고 하나도 어떻게든 아기자기 하게 꾸며야 직성이 풀리고, '무슨무슨 날'을 기념해서 계속 새롭게 바뀌는 네이버 홈페이지와 비교해보면 너무 간단한 것 아닌가 싶다.

하긴..
검색할 것이 있어 네이버에 접속했다가 딴 길로 빠지는 바람에 허비된 시간과
알고 싶지 않은 일이 자꾸만 메인 화면에 기사로 뜨는 바람에 시달렸던 것을 생각하면,
내가 알고 싶고, 찾아야 할 내용을 직접 입력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보여주지 않는 저런 디자인이
오히려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든다.
생각해보니 구글도 그런 디자인이구만.

흠. 그래. 이쪽이 훨씬 편안하게 느껴지는 것 같아.
아무튼,
내가 '챗GPT'에게
'지브리풍과 슬램덩크풍으로 그려줘'라는 명령어를 넣고 그림을 부탁한 결과
지브리에서도 슬램덩크에서도 나는 주인공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지브리에서는
주인공 여자아이가 고민이 생겼을 때,
옆에서 깨방정 떨며 조언해주는 이모나 옆집 아줌마 같고

슬램덩크에서는
뭔가... 흠... 적절한 비유가 잘 생각나지 않지만
뭔가. 브로커나 탐정...스파이... 뭐 그런거. 역시 주연은 아닌. 실마리를 주고 일찍 죽는..

같은 사진을 넣었는데,
화풍에 따라 이렇게 다르다구요? >.<
암튼.
한번은 해보니 재미있었는데,
이렇게 올려진 내 원본 사진은 과연 어디로 가는 것일까를 생각하니
갑자기 우울해질려고 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