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헬프 1
캐서린 스토켓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결혼 후 2년만에 시어머님이 돌아가셨다.
생일과 크리스마스에 다정한 손편지를 써 주시고, 겨울에 따뜻한 코트를 사주셨던 어머니가
너무 갑작스럽게 돌아가신 경험은 이 후 나의 인생에 큰 변곡점이 되었다.
돌아가시 전,
"베란다에 있는 작은 고추장 항아리가 있어. 그 안에 들어있는 것을 가져오렴"
정신이 없어 그 안에 들어있는 것이 무엇인지 살필 겨를이 없었는데, 먼지가 뽀얗게 앉은 고추장 항아리 안에는 옛날 보온도시락을 담아 다니던 도시락 가방 하나가 구겨져 있었다.
그것을 대충 털어서 부리나케 다시 병원으로 달려갔더니 어머님이 그 안에 들어있는 것을 나보고 가지라고 말씀하셨다.
구겨진 도시락 가방을 열고, 겹겹이 둘러 싸여진 신문지를 벗겨 그 안에서 발견한 것은
작은 다이아몬드가 박혀있는 반지 한 개였다.
25주년 결혼 기념일에 아버님께서 선물하신 반지인데, 여즉 끼워보지 않으시고 누가 훔쳐갈까봐 베란다 고추장 항아리에 넣어 두신 모양이었다.
어머님 연세 58세에 나에게 작은 다이아반지 하나를 남기고 돌아가셨는데,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니 너무, 젊다.
그때 이후로 "인생은 부질 없는 것" "아끼다가 똥 된다" "지금할 수 있는 것을 하자"와 같은 인생 모토가 생기면서, 결국 성공이든, 돈이든, 행복이든, 살아있는 지금 이 순간이 제일 소중하다는 가치관이 다져졌다.
어머님이 돌아가신 후
전적으로 어머님 손을 통해 인생을 살아가시던 시아버지가 홀로 남았다.
매일 시댁에 가서 시아버님의 식사를 차려드리면서,
대체 성인이 된 인간이 왜 자신의 입으로 들어가는 밥을 남의 손에 의지해야만 하는가.
진짜 남자라는 인간들. 왜 때문에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는가.
이것은 교육의 문제인가, 결국 여자였던 어머니, 아내의 문제인가. 그런데 이번엔 며느리인 내가 이어받아 또 한 인간이 바보 멍청이인 것을 돕고 있는가.
자괴감에 빠졌던 2년이었다.
시댁을 드나드느라 내집 살림이 뒷전인것은 또 싫어서 힘을 내다보니, 결국 나도 병이 났다.
집에 사람들이는 것은 절대 싫다는 아버님댁은 어쩔 수 없이 내가 드나들고, 남편의 제안으로 우리집에는 청소를 도와주시는 이모님을 고용했다.
일주일에 한번씩, 4시간 동안 청소를 해주시는 일정이었는데
이모님이 오시기 하루 전에는 혹시 너무 더러운 곳은 없는지,
빨래는 다 되어 있는지, 속옷같은 것들이 나와있지는 않은지 둘러보느라 두배로 바빴다.
이모님이 출근하시는 날이면
오시기 전에 미리 커피나 차를 내드리고, 간식도 준비해두고,
괜히 집에서 나가지도 못하고 4시간 동안 걸리적 거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안절 부절 못하면서 이것이 과연 내가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인가 이럴거면 그냥 내가 하는것이 마음이 편하지 않을까 생각했다.
어쨌든 그들도 정당한 대가를 받고 그들의 일을 하는 것일 진데
왜인지 나보다 나이 많은 그녀들이 내 집에 와서 내 대신 청소를 한다는 사실이
그렇게 불편할 수 없었다. 결국 한달을 채우지 못하고 그녀의 도움을 포기했다.
<헬프>는 유색인 가정부들이 백인 가정에서 겪은 이야기들을 하나의 책으로 묶어나가는 과정을 그린다.
노예제도는 폐지 되었으나 여전히 보이지 않는 인종차별이 만연했던 그 때,
유색인과는 화장실도 같이 쓰지 않는 백인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자신들이 쓰는 화장실을 사용했다는 이유만으로 유색인을 구타할 수 있는 시대임과 동시에 유색인을 자신과 같은 사람으로, 친구로 생각하는 백인들도 함께 공존하던 시대.
구별이라는 것은 그것을 만들고, 지키고, 공고히 하는 사람들에게는 절대로 넘을 수 없는 혹은 넘어서는 안되는 어떤 선을 의미하지만 사실 그 구별이라는 것 자체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면 절대로 지켜져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사람들이 세상을 바꿔가는 이야기.
세상을 살면서
노력없이 주어진 것들에 대해 우쭐하지 말고,
같은 이유로 아무런 잘못없이 갖게 되는 불리한 입지 때문에 차별 받지 않고,
모두가 그냥 존재만으로 인정받고, 보호받을 수 있도록.
내 아이들이 사는 세상은 그런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