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당깊은 집 ㅣ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5
김원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을 보면서 그의 작품을 전에 하나도 안읽었다는게 신기하였다. 설마 하는 심정으로 그의 작품을 훑어보았는데, 하나도 안읽은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익숙함과 친숙함이 느껴졌다.
작가의 말대로 '당시 이나라 백성 모두가 하루 세끼 밥 먹기도 힘들었던 때였지만, 지금와서 "마당깊은 집"시절을 돌이켜 보면 우리 식구는 물론이고, 가난한 이웃들이 이른 봄 들녁의 엄동을 넘긴 보리처럼 안쓰럽고 풋풋하게 떠오른다. 그래서 그 이웃들을 떠올리며 가난은 절망으로 가는 길이 아니라 희망으로 가는 길로, 마당이 깊었던 집의 남루한 삶은 언젠가 언덕위의 집처럼 푸른 하늘과 더 가까이 살고 싶은 사람들의 꿈이 서렸던 집으로 그리고 싶'어 지는 듯 하다.
자전적 소설에서 보여지는 친숙함 외에도 가난함은 남루하지 않고 익숙하게 느껴졌다. 그리 빈곤할 것도 없다고 기억되는 평범한 가정에서 성장한 나에게도 가난은 늘 곁에 있었다. 마을길을 벗어나 아이스크림 통을 멘 고학생들의 뒤를 졸졸 쫓아다니며 다 녹아가는 아이스케키 한번 빨아먹어보았으면 하는 기대로 지냈던 것 하며, 세끼 밥을 먹기 힘들어서 한끼는 한사발의 밥을 끓여서 온 가족이 나누어 먹었던 시절, 그리고 추위에 옹그리고 자고 일어나 김이 허옇게 나오는 방안에서 떨었던 기억 등등 민족의 비극적인 전쟁을 체험한 세대는 아니지만, 십년정도의 연배차이에서 느껴지는 사회적인 경험들이 비교적 리얼한 추체험을 가져오게 한다. 이런 의미에서 비극의 현존성을 추억속에서 객관화하였다는 평가는 잘 어울린다.
세월이 흘러 이젠 겨울에도 반팔을 입고 따뜻한 곳에서 베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을 실컷 먹으며 지내는 우리가 가난을 짐지기 싫어하는 무엇일까? 가난이 실패자의 표상인듯 해서인가? 아님 정신적 여유까지도 몰아내는 것으로 확장해석하게 되기때문일까? 주인공의 엄마가 짐지우는 부담감(대리남편, 가장 등)을 성년이 된 주인공이 다 내려놓지 못했던 이유를 심리적 억압을 해소하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본다면 빈곤한 유년시절이 우리에게 준 가난의 이미지는 무엇으로 그릴 수 있을까? 여러가지 생각을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이리 저리 하면서 시간을 쪼개어 한 이틀에 걸쳐 보았다. 빈곤이 더덕더덕 묻어있음에도 가난하지 않은 추억, 그 삶의 추억으로 인해 따뜻함을 느낄 수 있음이 정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