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 미암일기 1567-1577
정창권 지음 / 사계절 / 2003년 1월
평점 :
'16세기는 어떤 사회였을까?' 자못 궁금하다. 역사책에 기록된 사실들을 대강 훑어본다면, 일단 정치적으로는 사림들이 중앙정계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면서 훈구파와의 갈등으로 사화가 자주 일어나고 이로 인해 사대부 지식인들은 도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빠져들기도 한다고 하며... 경제적으로는 지급할 토지의 부족으로 인해 과전법이 무너지면서 직전법이 시행되었고 이로 인해 훈구파들의 사전 확대 욕구를 자극하여 병작반수제의 보편적 현상을 엿볼 수 있었으며, 부역제의 해이로 인하여 조선건국의 틀을 이루었던 농본 억상책의 변화가 수반되는 시기, 문화적으로는 사림들의 성리학적 이상이 꽃을 피움으로써 실용적이거나 실리적인 문화요소들이 잦아드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림이나 음악 등이 아주 작고 섬세해진 이유는 이 때문일게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본다면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꿈꾸는 양반들의 향촌지배가 시도되며 향약이 실시되기도 하는, 15세기와는 정말 다른 사회, 그 사회를 생생하게 전해주는 중심에는 미암과 이문건, 그리고 오희문 등의 사대부가 서 있다. 이중에서도 미암 유희춘의 일기는 그 내용과 분량에 있어서 압권이다. 꼼꼼한 기록을 남겨줌으로써 과거의 삶을 구체적으로 알게 해준 이들의 노력에 감사하는 마음이 또한 지극하다. 집안의 대소사에 대한 관심이 적지않았으며 집안경제를 일으키는 문제에 대하여서도 결코 이해가 부족하지 않았던 사대부, 벼슬살이를 통해 벌어들이는 녹봉만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관청의 증여품과 선물들으로 이루어진 경제체제, 시장의 기능에 별로 의존하지 않았던 일상생활 등은 구체적이고 생생하다. 벼슬이 낮지않았으며 또한 탐욕적인 인품을 발견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부인의 일가친척인 박명성의 녹봉을 타먹고 감사나온 관리들이 내놓으라고 하는데도 안내놓고 버티며 끝까지 타먹을수 있었다는 점도 생소한 정보였다. 고려시대의 여성들처럼 자유로운 부인의 나들이는 성리학적 세계에 아직 갇히기 전의 여성들의 자유분방함을 엿보게도 한다. 우리가 전통이라 알고있던 대부분의 것들이 불과 2,3백년전에 만들어지고 고정된 것임을 생각한다면 또다른 감회를 불러일으키게도 된다. 하기야 그런 것을 깨뜨리는데는 불과 30년 정도로도 가능했음을 생각한다면 사회의 변화속도가 아찔하게 느껴지지만 말이다.
내가 16세기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났더라면 어땠을까? 아마도 미암의 큰 딸처럼 속앓이를 하면서 친정에서 엄마와의 삶을 주로 살고 있지 않았을까? 아버지의 세심한 배려나 남편의 자잘한 사랑을 받지는 못하였겠으나 친정엄마와 터놓고 이야기하면서 남편으로 인해 아버지 흉과 남편 욕을 함께 하면서 한숨도 같이 쉬고 있지는 않았을는지.....? 생계유지를 인한 노동으로 인해 고달프지는 않았겠지만, 내 삶의 적극적 의미는 어디서 구할 수 있을는지, 자식에게 모두 쏟아부으면서 출세를 조장하고 있었을까? 아님 남자로 태어나지 못했음을 회한하면서 적당히 체념하고 있었을까? 또 이 깊어가는 가을을 나는 어떻게 느끼고 있었을까? 국화주를 한 잔마시면서 달구경을 하는 것으로 마음을 쓸어담고 있었을까? 아니면 가마를 타고 나가 꽃구경을 즐기면서 시 한수를 읊거나 그림 한 폭을 치는 한가로움 속에 노닐고 있었을까? 자못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