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사 3 - 야스쿠니의 악몽에서 간첩의 추억까지 ㅣ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3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5년 7월
평점 :
현대사에 대한 학적인 관심 뿐만 아니라 내가 살아가는 시대에 대한 치열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 책에 대해 제대로 정리를 해보는 것이 나의 의무인 듯한 강박관념을 느끼게 된다. 오래 전에 읽고 책 정리를 한 후에도 이런 생각에서부터 놓여나지를 못하고 있다. 더구나 3권을 읽으면서 속도를 줄이고 한 장씩 천천히 "한겨레21"과 "진실 광장에 서다" 등을 함께 읽었더니, 'Here & Now'의 의미가 확실해지고 내가 살아가는 현재에 대한 관심이 치열해졌다.
1권이나 2권은 저만치 멀리서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의 여유를 가졌던 내용인지라 ,소위 객관성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부분들을 문체에서도 느끼게 되었던 데 반해, 3권은 현재 진행되는 역사를 다루기때문에 격렬하고 감정이 많이 묻어나 있었다. 그래서 더 울컥하는 마음도 들고.....
1권의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단군 할아버지' 한분의 조상에서 오늘날의 한국인이 모두 퍼져 나왔다는 것은 극단적 민족주의와 부계 혈통주의가 결합된 아주 난폭한 주장"(p.63)이란 단호한 표현이었다. 학생들과 이 문제를 가지고 토론을 해보던 중이라서 눈길이 더 쏠렸다. "똥과 된장"만큼 다른 수구와 보수의 차이를 말하는 '참된 보수'를 아십니까를 읽으면서 황현이나 이건창을 소개한 내용은 감동의 물결을 솟구치게 했고, 보수가 제대로 서야 우리 나라가 산다는 저자의 견해에 대해서도 적극 지지하게 되었다.
2권은 '역사를 통해서 남의 눈이 아닌 자기 스스로의 눈으로 세상을 읽는 경험을 쌓아가는 여행'을 하고 싶어하는 저자가 1권과 연결하여 재미있고 쉽게 읽을 수 있되 세상 돌아가는 일에 대해 내용있는 글을 쓰려는 의도가 다분히 배어 있는 책으로 인종주의와 박정희, 그리고 김산의 아리랑에 대한 내용이 눈에 들어왔다. 다가치한 사회에서 한 인물에 대한 평가야 다양할 수 있겠지만, 박정희로 인해 빚어진 우리 현대사의 질곡들을 상세히 토론하고 정리해보는 기회는 반드시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김일성에 대한 바른 평가도 아울러 필요하리라 생각이 들었다. 공산주의 운동가로서 민족해방을 위해 일생을 소모한 아리랑의 김산을 보면서 또한 가슴 속으로 눈물이 차이는 걸 느꼈다. 시대도 다르고 세태도 다른데 비슷한 감동을 가져오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진실과 민족애에 대한 열정을 느꼈기 때문이리라 생각이 든다.
3권은 '해마다 전환기였고, 달마다 위기였던 현대사를 되돌아보면 우리가 걸어온 길도 만만치 않았다는, 상당히 왔는데, 앞을 보면 더 멀어진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민주화가 된 건지 마구 헷갈리기만 한다'는 머리말로부터 시작되어 '초심을 간직하고 길을 내려'는 각오와 '자꾸 다니다 보면 가시밭에도 길이 나기 마련이란 희망만큼은 놓아버리지 않고 간직하려'는 희망이 보인다. 주사파와 김영환에 대한 생각, 지금도 한국의 민주주의는 보수주의자들의 손에 달려있다 주장, 그리고 김남식 선생에 대한 소개와 애정이 묻어져 내 삶의 언저리들을 자꾸 들여다보게 된다.
현재 내가 살고 있고 또 살아갈 날들에 대해 개인적인 접근 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환원작업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겠다는 생각이 대한민국사를 다 읽어내면서 든 생각이다. 물론 이런 생각들은 나의 생각으로만 그칠 것이 아니라 토론하고 행동하면서 살아 움직이는 역동성을 확보하도록 내 노력이 참으로 많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한홍구 교수에게 감사를 보낸다. 그리고 이 책을 만들어낸 한겨레 신문사에게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