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행복했던 때라 쉽게 겁을 먹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밸린저 부인은 혼자 하면 위험한 일이라도 되듯 ‘문화생활’을 무리 지어 추구하는 여성 중 한 사람이었다.


그녀는 한 가지 소유를 보면 다른 소유도 알 수 있다든지, 부유한 여성이라면 자신이 세운 높은 수준에 걸맞게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든지, 하고 넌지시 자기 생각을 내비치기를 좋아했다. 그녀가 판단하기로는, 좀 더 신분이 낮은 사람들에게 신이 강요하는 것이란 어떤 목적에든 두루 적용할 수 있는 전면적인 의무감뿐이었다.


그녀가 의견을 말하는 방식은 꼭 친절한 세일즈맨이 처음 보여 준 물건을 손님이 마음에 들어 하지 않으면 다른 걸 슬며시 들이미는 식이었다.


신이 요지부동할수록 그의 노여움을 달래려는 인간의 욕망은 커지는 법이다.


막연히 뭔가를 감추려는 듯 던진 일침은 그런 전문 용어를 쓰면서 느끼는 만족감 때문에 별 효력이 없어 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앤드루 포터 지음, 김이선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하나 만으로도 이 책을 읽을 가치가 충분한데, 나머지 단편 들도 고루 좋았다. 극단으로 치닫거나 숨겨둔 반전 따위가 없는 스토리를 나는 좋아하기 때문에 더욱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머신러닝은 직관과는 반대로 우리가 앞에 놓인 결정을 평가할때 기계화되는 대신 더 인간화되도록 도울 수 있다. 머신러닝은 ‘실수가 정상이며 실제 데이터에 그것이 내재한다고 가르쳐준다. 실제로 이분법적 선택지는 거의 없으며, 모든 것이 패턴에 들어맞거나 반박할 수 없는 깔끔한 결론으로 수렴하지는 않는다. 예외는 규칙을 만든다. 내가 머신러닝의 관점을 유용하게 사용했던 건, 이관점이 인류의 선천적인 무작위성과 불확실성을 걸러내는 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보다 더 쉽게 수용하기 때문이고, 완벽하게 이해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머신러닝의 방식은 내가 무서워할 상황을 대비해 계획을 세우고, 상황이 잘못된 쪽으로 흘러갈때에 더 잘 대비하도록 돕는다.
나무처럼 생각하기는 우리 주변의 복잡성을 반영하며 동시에우리가 회복하도록 돕기 때문에 중요하다. 상자가 밟히고 부서져서 영원히 사라진 후에도 의사결정나무는 수백 년을 버틴 굳건한참나무처럼 그 어떤 날씨에도 맞설 수 있다. - P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신이 초라해지는 상황은 참을 수 없지만, 그렇다고 크게 나오지도 못한다. 그래서 이 남자가 늘 불쾌한 것이다.



 하지만 그럴 때가 있는 법이지. 아주 오랫동안 멈췄던 시계가 다시 움직일 때 말이야. 그날 그 시간의 다음이 다시 시작되는 일 말이야.”



나는 더우화를 아주 좋아했다. 특히 할아버지가 아침에 사다 주는 그 자랑스러운 한 그릇을. 몽글몽글한 더우화에 숟가락을 꽂고 달콤하게 졸인 땅콩과 함께 섞을 때, 이 세상에 나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하나도 없고 나는 이 세계에 군림하는 작은 패왕 같았다.



나는 눈물이란 슬플 때 제멋대로 나온다고 믿었기에 할아버지의 장례를 치른 뒤 몇 주 동안 혹시 내가 슬퍼하지 않나 생각했다. 우리가 믿어 의심치 않는 것 대부분은 다른 이의 시계로 측정되는 것이라 아무래도 이런 오해가 생긴다.


밍첸 삼촌에게 비밀이란 그게 어떤 것이든 개구리에게 비와 같은 것이다. 개굴개굴 울지 않고 배길 수 없는 것이다. 


“공자님 말씀이지, 아마? 중요한 일을 제대로 하면 작은 일은 어느 정도 어겨도 된다는 소리야. 공자님 제자 말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거두절미하고 이 말은 진리야.”


  “《논어》 같은 걸 읽어?”


  “내게 적당한 부분만. 



“자네 할아버지는 늘 화가 나 있었어요.” 위에 씨가 말했다. “가슴속에 아직 희망이 있었던 거죠.”


  “희망?”


  “조바심과 초조함은 희망의 다른 얼굴이니까요.”



이 학교에서 우리가 배우는 것은 절대복종과 괴롭힘을 함께 견딘 동료들에 대한 연대감과 소속감이다. 그리고 다음 세대에 물려주는 것은 분노의 칼끝을 원한도 없는 사람에게 돌리는, 교묘한 자기기만이다. 타인을 모방해 그 욕망을 받아들이는 것 외에는 자기 자신이 될 수 없다고 한 자크 라캉의 주장이 옳았다. 그렇게 전쟁도 모방하게 되는 것이다.



“운명의 사람을 만날 때는 나쁜 일조차 도움이 되지.”



사람에게는 성장해야 하는 부분과 성장할 수 없는 부분과 성장해선 안 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 혼합된 비율이 인격이고,



“우리 마음은 늘 과거 어딘가에 붙잡혀 있지. 억지로 그걸 떼어내려 해봤자 좋을 게 없단다.”
















“죽을 때만 행복하거나 불행하거나, 그런 일은 없어. 만약 내가 내내 행복하다가 죽을 때 차에 치여 죽는다고 해도 지금까지 행복했으니까 뭐, 괜찮네, 라고 생각할 거야. 거꾸로 내내 불행했는데 죽기 전에 복권에 당첨되었다면 지금 새삼스럽게? 라고 생각하겠지.”


사소한 일로 자기 대신 분노를 뿜어주는 사람이 있으면 우리는 늘 조금쯤 친절해진다. 그런 법이다.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느껴 헤어지는 원인을 나누려고 했던 거야. 


우리는 끝내 마음을 따르거나 아니면 단호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수밖에 없다. 어느 쪽으로 가야 좋은지는 죽을 때까지 모를 일이다. 그렇게 단호하게 마음을 거절하다 보면 우리는 더는 우리가 아니게 되고, 그렇게 우리는 우리가 되어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