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솔로이스트 - The Soloist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눈물이 흘렀다. 둘러보니 나 말고도 눈물을 흘리는 여성 몇이 보인다. 눈물을 훔치면서 '내가 왜 울지?'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니까, 풀어 생각하면, 이성적으로는 울 만한 장면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면서 눈은 울고 있었다는 뜻.
그것은 음악 때문이었다. 정확하게 말하면 음악에 미친 사람을 보기 때문이었다. 음악은 두고 두고 내게 그런 존재다. 윈도우미디어에서 봄직한 울렁울렁 야릇한 천연색 화면들처럼(실제 이런 화면을 극장용 영화에서 쓰는 건 처음 봤다) 무언지 알 수는 없는데 계속 시선을 붙잡고 있는 어떤 것처럼, 그것을 느끼고 만지고 보듬고 내치는 사이, 그 중 어떤 하나에 꽂히면 문자 그대로 '미.치.게.만.드.는.것.'
잔인하거나 무식한 말이 될 지도 모르지만 한 마디 한다면, 대체 음악 혹은 예술이 미치지 않고 제대로 만들어 질 수 있겠는가. 적어도 우리가 오래 전부터 명장으로 기억하고 있는 많은 예술가들은 일찍 죽어버리거나 결국 미쳐서 죽었다.
나다니엘은 미쳐 있었다. 정신분열증이라는 병명을 가진 그 자신에 비해 또 다른 의미로 미쳐 돌아가는 LA라는 도시에서 순수하게 오로지 자신이 사랑하는 음악만을 붙들고, 베토벤 동상을 도시의 천사 삼아서, 혼자 응집되어 외부의 그 어떤 것과도 연관되지 않으며 살아가는 사람.
그런 그도 외롭다. 그에게는 친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세상에서의 친구란, 기브 앤 테이크. 서로 줄 것이 있어야 하고 받을 것이 있어야 한다. 때로는 서로가 원하지 않는 선물을 주어서 속으로 불만스럽더라도 그것을 용인해 내어야, 헤이 마이 프렌드! 하며 어깨를 투닥거릴 수 있다.
스티브는 미치지 않았다. 그에게 음악은 나처럼 미치게 만드는 것인 줄 알면서 멀찌기 떨어져 오롯이 감상하면 되는 것이고, 그 감상법에 따라 미쳐 있는 사람이 만든 음악에 대한 경외심을 간직하고는 있다. 그는, 배운 놈이다. 나다니엘이 쥴리아드에 잠깐 다니기는 했지만 음악 외에 소위 교양이라고는 배울 새가 없었던 것과는 달리 백인 주류 사회에서 기자 생활을 하며 상도 타고 유명세도 떨치는 잘 나가는 사람이다.
여기서 백인 미국인의 선민의식이 등장한다. 자기보다 겉으로는 하위인데 속으로는 무언가 대단한 재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 어려운 사람을 도와야 한다는 의식. 그렇게 함으로써 상대도 좋고 나도 좋은데 무엇이 잘못이냐는 의식. 그렇게 함으로써 실은 자신이 또 다른 목표를 상정하고 그 목표에 이르러 결과물을 보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상대를 다구치고 있다는 생각은 하지 못하는 그런 의식.
나다니엘에게 스티브는 유일한 친구. 유일한 친구이기에 그는 아무 때나 스티브의 회사에 찾아와 곤란하게 하기도 하고 아무 때나 전화를 걸어 업무를 방해하기도 하고 'I love you'라고 애절하게 외치기도 한다. 정신병자라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그에게 친구라고는 스티브 뿐이기 때문에.
스티브에게 나다니엘은 친구들 중의 하나. 하지만 돌봐주어야 하는 친구. 걱정되는 친구. 항상 같이 있을 수는 없는 친구. 친구라고 했으니 반드시 자신이 기대하는 것만큼 그 재능을 이끌어 내야 하는 대상. 그리고 자신이 친구를 가지고 상업적인 이용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자체 검열을 하느라 피곤하게 만드는 친구.
이전의 헐리우드 영화에서라면 나다니엘은 제대로 한번 공연을 멋드러지게 하고, 스티브에게 감사했겠지만, 그리고 둘은 해피하게 좋은 친구들로 남았겠지만, 영화 솔로이스트가 적어도 그런 압박에서 벗어나 친구의 함수 관계에 대해서 물음표를 날려준 것은 고맙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니 더욱 그렇기도 하겠고.
아무튼 나는 눈물을 흘렸고, 음악은 베토벤의 그것이 가진 본래의 위용 때문에 무조건 좋았으나, 음악 자체가 지닌 광기에 별무관심인 사람들에게 이 영화는 지루할 것이 틀림 없으니, <러쉬>류의 감동을 기대하고 표를 끊지는 마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