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훔친 여름 ㅣ 김승옥 소설전집 3
김승옥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0월
평점 :
사실 제목을 저렇게 적어는 놨지만 유사 제목인 <책만 읽는 바보>는 읽어보지 못했다. 오랫동안 보관함에서 썩고 있지만 어찌 된 일인지 참 안 잊혀지는 제목이고, 또 어찌 된 연유에서인지 김승옥의 책을 읽고나서는 책만 읽는 바보로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생각의 가지는 이리로 저리로 정한 데 없이 뻗치기만 한다.
초기 작품에 비해 약간은 때가(?) 묻었다거나 왠지 영화화 하기 좋은 소설 같다 싶었는데, 역시나 이 두 중편은 중앙일보와 선데이서울에 연재 되었다고 한다. 뭐 신문 잡지 연재물이 무조건 통속이라는 말은 아니다만, 너무 대중의 심리와 떨어져 있는 외골수 식 쓰기가 계속 된다면 더이상 연재 되기 힘들었을 것 아닌가.
김승옥 특유의 통찰력과 문장력은 여전히 비할 데 없이 훌륭하게 글 속에 나타나지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은 이전 읽었던 <환상수첩>에 비해 사뭇 더 유들유들하고, 내용 역시 남녀 간의 애정행각이나 서울사람 지방사람이 만났을 때의 묘사, 소위 엘리트 급에 있는 층과 무식한 층이 만났을 때의 묘사 등, 누구나 읽으면 흥미를 느낄만한 소재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내가 훔친 여름>에 나오는 장영일이라는 사기꾼 스러운 인물이 보여주듯이, 그 시대에는 지금보다는 돈도 돈이지만 아무래도 지식인의 교양 같은 것이 우상 시 되었으매, 자조 섞인 작가의 인물 묘사에 나오는 대사들은 얼핏 궤변 같기도 하고 촌철살인 같기도 하면서 통쾌한 느낌마저 준다.
책 뒤 편에 소개된 이응준씨의 글은, 얼마 전 내가 <환상수첩>을 쓸 때 간절히 김승옥이 소설가로 컴백 했으면 하고 바랐던 내용과 닮아 있다. (물론 글은 천만배 더 멋지게 쓰셨지요!) 비록 전두환 정권에서 너무 실망하여 그 길로 하느님에게로 가버린 그라고는 하지만, 이런 작가가 다시 소설을 쓰지 않는다면 그것은 도리어 하느님이 그의 속세에서의 의무를 잊고 있는 것일 거라는...그래서 반드시 돌아올 것이라고 기대한다는...
이렇게까지 기다리는 이유는 사실 단순하다.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배웠을까, 아니 그런 생각이 어떻게 떠오를까 궁금해 죽겠는 김승옥만의 각종 표현들에 푹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돌아온다고 꼭 그걸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