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수학자 - 캔버스에 숨겨진 수학의 묘수를 풀다 미술관에 간 지식인
이광연 지음 / 어바웃어북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수(數)를 가지고 남자와 여자를 그렸다!"

"아름다우면서도 해부학적으로 흠잡을 데 없는 인체"를 그리는 것으로 유명한 뒤러가 1:1.6의 황금비에 빛나는 8등신의 <아담>과 <이브>를 그린 뒤 한 말이라고 합니다(76). 수학을 못하면 대학만 못 들어가는 줄 알았습니다. 르네상스시대를 선두에서 이끌었던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기하학을 모르면 그림을 제대로 그릴 수 없다"(5)고 했답니다. 수학을 모르면 그림을 잘 그릴 수 없다는 사실뿐 아니라, <미술관에 간 수학자>는 그림을 꼭 직접 그리지 않더라도, 수학을 알면 그림이 더 잘 보인다는 사실을 일깨워줍니다.

<미술관에 간 수학자>는 예술 작품 속에 투영된 수학의 세계를 아름답게 설명해주는 책입니다. 그림 속에 녹아 있는 수학의 세계를 흥미롭게 풀이해주는데, 수포자인 제게는 수학적 설명이 여전히 넘기 힘든 문턱(사실 문턱 정도가 아니라 장벽 수준입니다만)이었지만, 수학의 세계가 아주 정교하게 그림을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롭고 즐거운 감상이었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작품 설명은 대표적인 원근 착시를 보여준다는 마그리트의 <유클리드의 산책>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는 "아무리 연장해도 절대 만날 수 없는 직선"을 평행선이라고 정의했는데, 마그리트는 원근법을 이용하여 유클리드의 정의가 옳지 않을 수도 있음을 표현했다"(33)고 합니다. 그림을 처음 봤을 때는 2개의 원뿔 모양의 탑이 그려진 줄로만 알았는데, 이 책을 설명을 듣고 보니 2개의 원뿔 모양의 탑이고 생각했던 그림은 사실은 원뿔 모양의 탑과 그와 쌍둥이처럼 닮은 도로였습니다. 화가는 "평행선으로 이뤄진 도로도 원뿔처럼 한 점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이렇게 그렸다고 합니다. 그림을 통해 자기 방식으로 수학자에게 말을 거는 화가 마그리트가 재치 있고 유쾌해 보입니다.

<미술관에 간 수학자>는 캔버스에 숨겨진 그림 감상에, 기발하고 즐거운 수학적 상상력을 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알갱이 역학' 중에서 '멈춤각'이라는 것이 있는데, 고대인들이 바벨탑을 쌓을 때 이 각도를 알고 있었다면 바벨탑은 무너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상상입니다. "멈춤각은 창조주가 설계한 자연의 성질이므로 아무리 창조주라고 하더라도 멈춤각을 지켜서 쌓은 탑을 무너트리지는 못했을 것이다"(37). 또한 '성경 속 대홍수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는 수학자의 상상력도 흥미롭습니다. 40일 동안 내린 강수량을 시간당으로 구하고,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홍수가 나고, 다시 물이 빠지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면 지구 전체를 덮는 대홍수는 일어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는 것입니다(230-233). 저자는 이러한 수학적 상상력을 '별난 수학자의 위트 정도'로 읽어달라고 하는데, 성경의 기록을 진리로 믿는 한 사람의 성도로서 여기에 숨은 신의 비밀이 궁금해지는 순간입니다.

<미술관에 간 수학자>를 읽으며 수(또는 수학)는 신의 언어, 우주의 언어라는 사실을 다시 깨닫습니다. 예술은 창조 세계의 성질과 질서와 조화와 균형이 수학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그것을 꿰뚫어보는 그림의 언어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가를 깨닫고 새삼 더 놀랐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학자는 화가들"이라는 이 책의 명제가 참으로 아름답게 느껴집니다. 수학과 친하고 수학을 잘 하는 친구들이라면 이 책이 더욱 흥미롭게 읽힐 것입니다. 더불어 수학과 친해지는 데 그림이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책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수학과 사이가 나쁜 친구라 할지라도 수학의 아름다움, 수학의 정교함, 수학의 매력, 수학의 위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책이기도 합니다. 이 책 때문에 수학과 더 친해졌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림과는 확실히 더 친해졌으며, 수학이 더욱 근사하게 느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