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서문
버크.베카리아.니체 외 27인 지음, 장정일 엮음 / 열림원 / 2017년 12월
평점 :
"제목이 압축 파일이라면 서문은 그것을 푸는 암호다"(12).
이 책에서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이 책의 '서문'(서문이라고 할 수 있다면) 속에 들어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 책의 유익은 위대한 서문을 만났다는 기쁨보다 서문의 위대함을 깨달았다는 데 있었기 때문입니다.
"서문"은 "저자가 자신의 책 첫 부분에 붙이는 간략한 글"(6)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서문이 무에 그리 중요해서 '위대한'이라는 수식어까지 사용했을까요? 이 책을 엮은이는 서문을 읽지 않고 곧바로 본문 독서에 들어가는 독자들을 "수영장에서 아무 준비 없이 곧바로 물속에 뛰어들어가는 사람", "아무 목표도 정하지 않고 떠나는 여행자"에 비유합니다. 엮은이의 표현대로 "저자의 욕망이 고스란히 투영된 서문"(13) 읽지 않고 독서를 시작한다는 것은 책 속에서 길을 잃기 쉽고, 심하면 책을 오독할 위험에도 노출될 위험이 있다는 뜻으로 들립니다. 서문은 간략한 글이지만, 그 간략한 그 글 안에는 "집필 동기와 목적, 체계와 방법론, 주제와 내용 요약"은 물론 "어떤 경우에는 자신에 대한 변호와 경쟁자에 대한 반박"(10)이 다루어지기도 합니다. 그러니 "서문은 한 번 읽고 말 것이 아니라, 참고서처럼 곁에 두고 매번 펼쳐 보아야 한다"(13)는 것이 이 책의 주장입니다. <위대한 서문>을 만나기 전까지는, 나는 제목과 서문과 목차와 심지어 앞표지, 뒷표지까지 충분히 음미한 후에 책을 읽는 독자라고 내심 자부하고 있었더랬습니다. 그런데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네 형제들>의 서문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분명 이 책을 읽었고, 그렇다면 분명 서문도 읽었을 텐데 서문이 있었다는 것조차 기억이 나지 않으니 읽었어도 읽은 것이 아니고 더구나 "참고서처럼 곁에 두고 매번 펄쳐 보아야 한다"는 견지에서 보면, 더욱 읽어도 읽은 것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위대한 서문>은 "서른 권의 책에서 뽑은 서른 편의 서문"을 소개해주는 책입니다. 기억에 남는 첫 문장은 있어도 기억에 남는 서문은 없었던지라, 위대한 첫 문장과의 만남이 던져주는 강렬한 울림을 <위대한 서문>에서 기대하기도 했습니다. <위대한 서문>만 모아놓은 서문을 읽고 가장 놀랐던 것은, 서문의 다양한 색깔이었습니다.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로테로다뮈스의 <격언집>의 서문 같은 경우에는, 서문을 그저 책에 덧붙인 작가의 인사말 정도로 생각했던 것이 미안해졌습니다. <격언집>의 서문은 그 자체로 한 권의 책이었고, 격언에 관한 모든 것을 정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격언을 잘 설명해주고 있었습니다.
"헛소리나 늘어놓는 부실한 서문치고 뛰어난 명저는 없다"(13)는 엮은이의 단언처럼, <위대한 서문>을 읽으니 <위대한 서문> 30편을 읽으니, <위대한 서문>은 위대한 명저 30권을 소개하는 또다른 작업이었음을 알았습니다. 서문을 읽고 그 책이 가장 궁금해진 책은 르네상스 최초의 베스트셀러라는 제바스티안 브란트의 <바보배>입니다. <바보배>는 "세상의 바보들을 싣고 바보들의 천국, '나라고니아'로 항해하는 이야기"라고 하는데, "110가지가 넘는 유형의 바보를 소개하며 종교개혁 이전이 타락한 사회상을 꼬집는다"고 합니다(25).
한 가지 재밌는 것은, 서른 권의 책에서 뽑은 서른 편의 서문을 소개하며 서문 앞에 붙인 엮은이의 '제목'에 더 주목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엮은이는 서문의 위대함을 논하며, "제목이 압축파일이라면, 서문은 그것을 푸는 암호다"라고 했는데, 이 책에서 엮은이가 붙인 '제목'이 바로 그러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엮은이가 붙인 제목 자체가 서문을 읽는 지도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때마다, 그렇게 제목을 뽑을 수 있는 엮은이의 탁월함이 독서를 할 때마다 '서문'을 되새김하는 버릇에서 길러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