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일조가 알고 싶다 - 다시 배우는 십일조, 축복의 통로인가 다른 복음인가 ㅣ 알고 싶다
윤상원 지음 / 넥서스CROSS / 2017년 10월
평점 :
품절
"신약시대의 그리스도인도 모세율법의 십일조를 드려야 하는가?"
이 책은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대부분의 교회에는 '십일조'라는 이름의 헌금이 존재하고, 저 또한 예수님을 내 삶의 주인으로 고백한 이후, 줄곧 수입의 십일조를 드려온 신자입니다. "온전한 십일조"를 드렸다고 자신할 수는 없지만, 나름 온전한 십일조를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십일조가 알고 싶다>는 아무런 고민 없이(?) 십일조 생활을 하고 있는 신자이든, 십일조 헌금에 대해 의구심이나 거부감을 가진 신자이든 모두가 읽어볼 만한 책입니다. 많은 성도가 수입의 10분의 1이나(!) 드려야 하는 십일조에 부담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신학적으로도 모세율법의 십일조는 폐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목소리를 높이는 이 때에, 십일조뿐 아니라 성도의 헌금 생활과 교회의 헌금 사용에 관해 모든 성도들에게 성경적 도전을 던져주는 강한 책이기 때문입니다.
<십일조가 알고 싶다>는 모세율법의 '십일조'를 강제적인 의무로 강요하는 것을 반대하지만, 그렇다고 십일조로부터의 해방을 노래하는 책도 아닙니다. 소득의 10분의 1을 반드시 드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십일조 엄수주의'도 반대하지만, '십일조 폐지론'에도 찬성하지 않는 입장에 서 있습니다. <십일조가 알고 싶다>는 먼저 십일조 엄수주의의 오류가 무엇인지를 밝히며, 십일조 폐지론의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합니다.
교회 안에서 헌금 생활을 가르쳐야 하는 목회자들은 신학자들과의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해 십일조에 대한 성경적 의미와 원리를 다시 숙고하며 신학적으로 입장 정리를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십일조 문제로 고민하는 성도들에게, 이 책에서도 다시 한 번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이것은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십일조 문제는 내 소득의 몇 %를 드려야 하는가, 드려야 하는가, 안 드려도 되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신앙고백적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신약교회는 '내 소유의 소유권을 전적으로 하나님께 돌립니다'라는 신앙고백으로 십일조 헌금을 드립니다"(130). 사실 십일조뿐 아니라, 모든 헌금이 신앙고백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이 책에서 우리가 진짜 주목해야 할 것은 '십일조 정신'입니다. 다음은 제 가슴을 뭉클하게 했던 저자의 선포입니다. "옛 언약의 시대에 이스라엘 나라는 '탐욕'이 통치하는 가나안 땅 한복판에서 자선을 베풀어 '거룩한 백성'의 소명을 감당해야 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3년마다 드리는 '자선의 십일조'였습니다. ... '탐욕'으로 가난한 자가 발생하였고, 그 탐욕은 가난한 자를 억압했습니다. 이 탐욕이 가나안 땅을 지배하는 원리였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자선은 탐욕이 만들어놓은 세상질서를 바르게 회복하는 원리였습니다. ... 그러므로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 한복판에서 자선을 행할 때, 그것은 탐욕이 세워놓은 가나안 땅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이었고, 그만큼 하나님 나라와 그 통치를 현시하는 것이었습니다"(142-143).
<십일조가 알고 싶다>는 '십일조'에 대한 논쟁적 이슈를 잘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논쟁적 이슈에 대한 이 책의 입장이 단 하나의 '정답'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읽어볼 만한 책이며, 무엇보다 현대 교회가 배워야 할 헌금의 사용 원리에 관해 중요한 성경적 인사이트를 제공해주고 있다는 데 의의와 가치를 두고 싶습니다. 구약의 모세율법의 십일조이든, 신약의 자발적인 자유에 의한 십일조이든 성도의 십일조 생활은 "맘몬이 지배하지 못하는 그리스도인"(149)이라는 선언이며 고백입니다. 그리고 모든 성도를 이 승리의 외침 가운데 다시 불러모으기 위해서는 '헌금의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헌금의 개혁은 헌금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기도 합니다. 목회 일선에 이런 문제를 놓고 정직하고 치열하게 고민하는 목회자가 있다는 것에 대해 감사와 소망을 느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