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 사랑이 지나간 순간들
헤르만 헤세 지음, 송영택 옮김 / 문예출판사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에 빠진 청년들이 비록 고통스럽다 할지라도

그들이 괴로움에는 어떠한 비극도 없다는 것을

나는 차차 이해하게 되었다.


- <사이클론> 中에서


사랑이 전부인 것같아서, 그래서 실패한 사랑 때문에 인생도 끝장난 것같은 기분이 들 때, 읽으면 좋을 책입니다. 이 책은 사랑에 관한 대문호 헤세의 자전적 소설과 에세이를 모은 것입니다. 헤세가 직접 그린 수채화도 수록되어 있어 동화처럼 예쁘지만, '비 오는 날의 수채화'처럼 맑고 투명하고 사랑스러운 이야기들로 가득 찬 책은 아닙니다. 이 책에 대한 힌트는 제목에 있습니다. <사랑이 지나간 순간들>이라는. 설렘보다는 실망이, 불꽃의 튀기보다는 시들한 공허가 가득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랑밖에 없다는 듯 사랑을 갈망하며 살지만 사랑은 어쩌면 불꽃처럼 피어오르는 순간보다 지나간 후에 더 큰 의미를 갖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니 실패한 사랑 때문에 좌절할 것이 아니라, 사랑이 지난 후에 찬찬히 되새겨볼 일입니다. 여기 헤세처럼 말입니다.



그러나 그는 여름날 저녁 자신과 함께 걸었던 많은 여자를 생각했다.

자신의 손이 지금과 똑같이 부드럽게 머물렀던 다른 팔, 다른 머리카락,

다른 어깨와 다른 얼굴을 기억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이 이미 경험한 것과 똑같은 행동을 다시 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저녁에 시인은 무엇을 보았는가> 中에서

 
헤세에게 사랑은 그리 행복한 기억은 아닌 듯합니다. 오히려 습관처럼 반복되는 사랑에 대한 환멸이 느껴집니다. 헤세의 결혼생활이 그리 평탄하지 못하여 세 번의 결혼 끝에 겨우 평온과 조화를 찾았다고 하니, 이 책을 읽으며 죽은 연애 세포를 깨우는 달달함은 기대하지 말기를 바랍니다. "아홉 살 연상인 마리아는 아내라기보다는 어머니의 이미지에 가까웠고, 결혼 생활은 안락하지 못했다. ... 그 후 헤세는 루트 벵거라는 젊은 여성과 결혼했으나 금방 파국에 이르렀고, 니논 여사를 비서로 채용하여(나중에 그녀와 결혼함) 여생의 벗으로 삼았다. 비로소 헤세의 생활과 심경은 평온과 조화를 되찾게 되었다"(헤르만 헤세의 문학과 생애 中에서).


 
어찌할 바를 모르던 첫사랑의 고통이 나를 괴롭히고,
그리움과 희망과 실망이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동안에
우울과 사랑의 불안에 빠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슴 깊은 곳에서는 매순간 행복감을 느꼈다.

- <내 나이 열여섯이었을 때> 中에서


어쩌면 이 책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사랑"이라는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랑받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는 것이 행복이고,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랑하는 능력이라는 다소 뻔한 결론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번역이 문제인지 이상하게 몰입이 잘 안 되고, 개인적으로는 헤세의 책 중에 유독 재미가 없었던 작품입니다. 사랑은 원래 통속적이고, 진부한 것이라 했던 가요. 대문호 헤세의 작품인데 진부하게 느껴졌던 것은 사랑이란 원래 그런 것이기 때문이겠지요. 우리가 사랑하는 것은 사랑이 주는 고통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랑이라는 감정에 환멸을 느낄수록 진짜 사랑에 대한 갈증이 깊어지는데, 진짜 사랑에 대한 성찰은 고통 속에서 깨어나니 말입니다. 벚꽃 흩날리는 화창한 봄날에 대문호 헤세와 함께 '사랑이 지나간 순간들'을 새롭게 음미려 보려 했으나, 그다지 새롭지도, 그렇다고 눈부시게 아름답지도 않았네요. 나도 모르게 책을 읽는 내내 사랑이 지나간 순간들을 다시 음미하느라 방해를 받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래도 이 책을 다시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사랑받는 것은 행복이 아닙니다.

인간이면 누구나 자기 자신을 사랑합니다.

사랑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행복입니다.



- <이것을 이해하나요> 中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