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다드의 오디세우스
에릭 엠마뉴엘 슈미트 지음 / 밝은세상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돌아갈 곳이 없는 지구촌 이방인, 사드.


불법체류란, 일반적으로 체류국의 출입국관계법령을 위반하면서, 자국 이외의 외국에서 체류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대한민국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 정책본부>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7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대한민국 내 불법체류자는 모두 223,464명이며, 총 외국인 체류자의 무려 21%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만 불법체류자로 살아가는 외국인이 이렇게 많다니 놀랍니다. 

<바그다드의 오디세우스>를 읽으며, 관심을 가지고 보니 불법체류자들로 인해 파생되는 각종 사회적인 문제가 생각보다 심각하다. 그러나 국제사회에서 불법체류자의 문제는 그리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닐 것이다. 책을 읽으며 이런 상상을 해보았다. "만일 하루아침에 살 집을 잃고 어려움에 처한 이웃이 우리집에 들어와 살게 해달라고 간절히 요청을 한다면 어떨까? 그것도 하루 이틀이 아니라 그들이 자립을 할 수 있을 때까지 한 집에서 같이 살며 도와주어야 한다면?" 어쩌면 거리를 걸으며 나도 모르는 사이 불법체류자들과 스치는 일도 많았을지 모른다. 그러나 나의 일상적인 삶과는 너무나 먼 거리에 존재하는 불법체류자의 문제에 대해서는 얼마든지 동정심과 박애정신을 가질 수 있지만, 직접적이고 실질적으로 다가와 어떤 희생과 구체적인 실행을 요구한다면 지금 생각하는 것만큼 동정적이고 박애적일 자신은 없다.

<바그다드의 오디세우스>는 이라크를 탈출하여 불법체류자로 살아가는 ’사드 사드’의 이야기이다. 그의 이야기는 우리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라크인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후세인의 독재 이후 미국과의 전쟁으로 사랑하는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그곳에서는 더이상 희망을 꿈꿀 수 없었던 ’사드’는 목숨을 걸고 자신이 태어난 나라에서 탈출을 한다.

자신의 나라가 아닌 곳에서 이주민에서 부랑자로, 범법자로, 불법이민자로, 무자격자로, 실업자로 차츰 차츰 전락해가는 사드의 삶을 설명할 수 있는 단어는 단 한 단어이다. ’불법체류자!’ 발 딛는 곳 어디에서도 환영받을 수 없다면, 어디로 가야 한다는 말인가. 우리와 같은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이방인’일수밖에 없는 그의 고통에 대한 책임을 우리는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 

이상향을 찾아 모험을 나섰지만, 돌아갈 곳도 정착할 곳도 없는 떠돌이가 되어버린 ’사드’. ’희망’을 꿈꿀 수 없는 곳에서 탈출하여 ’희망’을 찾아 모험을 계속하는 사드의 모습을 보면서, 어쩌면 ’사드’가 우리에게도 다음과 같은 사회에서 탈출해야 한다고 권하고 있다는 생각에 사로잡힌다.

"아무리 힘들어도 제 나라보다 나으니까 머물러 있는 것 아니냐며 간단하게들 치부하죠. 당신들이 안 보이는 데서 주은 듯 조용히 사니까 존재 자체를 깡그리 잊어버리는 거예요. 일종의 집단적 무관심인데, 인간에게 무관심보다 심한 모욕은 없잖아요. (...) 타인을 나와 동일한 인간으로 보지 않는 순간, 나보다 열등한 인간으로 취급하는 순간, 인간을 그 자체로 보지 않고 우열을 나눈 순간, 인간을 인간 이하로 취급하는 순간, 미개한 사회가 되는 거라고 봐요."(p. 271)

<바그다드의 오디세우스>는 신랄하게 현실을 고발하는 소설이면서도 상당히 문학적으로 읽힌다. 지구촌 어느 곳에서 당장 만날 수 있을 것 같은 사드의 삶이 아름답게 느껴질 만큼 문학적 상징성이 뛰어나다. 불법체류자의 현실적인 문제를 직접 느끼면서도, 그보다 근본적으로 인간 사회 안에서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존재의 고통을 통해 우리의 무관심과 오만함 속에 무심히 짓밟힐 수 있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인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