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키 원
니콜라스 스파크스 지음, 김진주 옮김 / 퍼플레인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운명적인 사랑을 믿으세요?

’찾아가는 운명, 다가오는 사랑’이라는 매우 낭만적인 글귀와
카드가 그려져 있는 책의 표지를 보니,
지치도록 보고 또 보았던,
’욘사마’ 열풍이 풀게 했던 ’겨울연가’의 한 장면이 생각난다.
배용준이 열연했던 ’민형’(준상)이라는 인물이 타로 카드 한장을 뽑아 들었는데,
그때 그 카드의 이름이 ’운명의 수레바퀴’였다.
’유진’의 선배는 그 카드를 ’민형’(준상)에게 선물하며,
마치 예언을 하듯 운명의 상대가 그를 향해 다가오고 있다고 알려준다.
똑같은 카드를 가진 사람이 바로 운명의 상대라는 말과 함께.

’운명적인 사랑’ 따윈 믿지 않는 사람들의 메마른 정서를 씻어주기라도 하듯
감성을 한껏 자극하는 <럭키 원>은 그 이야기가 ’겨울연가’ 보다 훨씬 더 ’드라마틱’하다.
만약, 오래 전에 찍은 나의 사진을 들고 한 낯선 남자가 국토의 절반을 걸어 찾아온다면?
아직도 이런 사랑을 이야기하는 작가가 있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이다.
’우연히’ 주운 한 장의 사진이 ’마법’ 같은 행운을 불러오고,
’무작정’ 사진 속의 여자를 찾아 미대륙을 절반을 걸어서 여행하고,
사진 속 여자의 전 남편과 ’필연성을 동반한 우연’으로 얽히고,
그럴 작정은 아니였는데, 어느새 서로에게 끌리며 사진 속 여자와 사랑에 빠지고,
’소울메이트’처럼 완벽하게 어울리는 ’커플’이 된다.

다소 비현실적으로 느껴지지만,
이러한 ’운명적 설정’이 현실에서도 얼마든지 ’있을 법’한 사랑임을 증명하듯,
개연성을 위한 여러 가지 장치도 잊지 않고 있다.
우선은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설정되어 있다.
’우연히’ 하게 주운 사진이지만 ’생존’을 보장받을 수 없는 극한의 상황에 처하면,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어떠한 미신이라도 믿고 싶어질 것이다.
또한 사진의 배경을 단서로 미지의 여인을 찾아 무작정 떠난 여행에서
주인공 남자는 사진 속 여자를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계산’해낸다.
이야기의 후반부에서는 ’운명’과 ’스토킹’ 사이에서 갈등도 일어난다.

내가 아는 가장 운명적인 사랑이야기인 ’번지점프를 하다’라는 영화를 보면,
선생님 이병헌이 학생들과 처음 만나는 자리에서 ’인연’에 대해 이야기하는 명대사가 나온다.
"이 지구상 어느 한 곳에 바늘 하나를 꽂고,
저 하늘 꼭대기에서 밀가루만큼 고운 가루 같은 밀씨 하나를 떨어뜨려서,
그 밀씨 하나가 나풀나풀 떨어져서 바로 저 바늘 위에 꽂힐 확률!
그런 엄청난 확률로 우린 만난 것이고, 그것을 ’인연’이라고 부른다"고.
(정확하지는 않지는 대충 이런 대사였다.)

이렇게 생각하면, 우리가 하게 되는 사랑은 모두 ’운명적인 사랑’이 아닐까.
사랑을 꿈꾸기 시작하고부터 줄곧 나도 ’운명적인 사랑’을 기다려왔다.
그런데 너무 ’요란한’ 운명을 기대하느라 모든 ’운명적 인연’을 놓쳐버린 듯하다.
지금은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해 <럭키 원>과 같은 환상을 품기에는
그간에 사랑에 대해 직접, 간접적으로 겪은 실망이 너무 크다.

<럭키 원>이 말해주는 것은 어쩌면 운명처럼 다가오는 수동적인 사랑이 아니라,
내게 다가온 사랑을 ’운명’이라고 믿고 가꿔가는 적극적인 사랑일지도 모르겠다.
그럴 때, 사랑은 기적이 된다고 말이다.

문학이니까, 소설이니까 이런 사랑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생각하면서도,
마음 한편에 다시 어떤 기대감이 살짝 자리한다.
내게도 사랑이 올까?
’바로 이 사람이다’ 하고 알아볼 수 있고, 확신할 수 있는 그런 사랑을 만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