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의 사과
기무라 아키노리, 이시카와 다쿠지 지음, 이영미 옮김, NHK '프로페셔널-프로의 방식' / 김영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친 속도로 돌아가는 세상을 살아가다가 문득 한 번씩 ’지금 잘 살고 있는 것인가?’ 하는 질문이 차오르면, 그 자리에 우뚝 멈춰서고 싶어진다. 올해는 유난할 정도로 자주 그런 욕구에 시달린다. 아마도 동시대를 살아가면서 나에게 꿈과 지표가 되어주었던 소중한 분들이 훌쩍 우리 곁을 떠나는 일이 잦아서 더욱 그런 것 같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스타까지 그렇게 떠나가는 분들을 보며, 내가 지금 목표하며 전력하고 있는 모든 것들이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가를 되돌아보게 된다.

<기적의 사과>는 목표를 향해 뛰어가던 나를 잠시 멈춰 서게 한다. 사과를 재배하는 한 농부의 우직한 삶은 나에게 진정으로 ’위대한 삶’이란 어떤 것인지 가르쳐준다. 전에는 부도덕한 정치인이나 기업인, 지식인들을 비판하면서도 마음 한구석 솔직히 그들이 가진 권력과 재력과 학력에 대한 부러움이 있었고, 그들이 가진 힘을 나도 쥐고 싶었다. 반대로, 낮은 자리에서 모든 기득권을 포기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존경심을 가졌지만, 솔직히 마음으로는 그들처럼 살기를 동경하지 않았다. <기적의 사과>에서 만난 한 농부 할아버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연농법’을 사과 재배에 도전한 그 무모한 삶의 이야기를 읽으며, 내가 진심으로 좇고 싶은 위대한 삶의 가치를 배웠다.

’농약을 쓰지 않고 사과 키우기’가 전 생애를 걸만큼 중요한 가치를 지닌 일일까? ’기무라 아키노리’ 씨는 그것에 모든 것을 걸었다. 우연히 계기로 시작된 실험적인 농법이었지만, 한번 미치니 포기할 수 없었다. 화학 비료 사용을 멈추자 사과 밭은 벌레들의 천국이 되었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았다. 사과가 꽃을 피우지 않아도(꽃이 피지 않으면 열매도 없다는 말이다), ’파산자’라는 놀림을 당해도, 가족들의 생계가 곤란해질 정도로 가계가 기울어도, 농사일을 못하는 겨울철에 부랑자나 다름없는 생활을 하며 노동을 할지라도 포기할 수 없었다.

사과나무에게 힘을 내달라고 사정을 하며 6년간 이를 악물었지만, 농약을 다시 사용하는 것밖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더 이상 없다고 느꼈을 때 농약을 다시 사용하는 방법을 택하지 않고 ’바보’가 된 농부는 죽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자살하기 위해 오른 산의 숲에서 비로소 해답을 발견한다. 그동안 땅 위에 사과나무만 바라보았지, 사과가 뿌리를 내리고 있는 땅 밑, 즉 흙은 바라보지 못했다는 깨달음을 얻은 것이다.

그렇게 고집스럽게 ’자연농법’을 실천한 9년 만에 드디어 기무라 씨 사과밭에 사과 꽃이 만개했다. 기무라 씨가 키워내는 ’썩지 않는 사과’의 비밀은 자연의 생명력이다. 기무라 씨는 사과를 키우는 것은 인간이 아니라 사과나무라고 말한다. 자신은 그저 사과나무를 도울 뿐이라고.

<기적의 사과>를 읽으며 내가 더욱 감동한 대목은, 자신의 농법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기무라 씨가 이렇게 재배된 농작물의 가격을 ’내리라’고 충고하는 부분이다! 농약을 쓰지 않고 재배한 농작물의 희소가치나 쏟아 붓는 노동력을 생각하면 비싼 가격에 팔리는 것이 당연한 일 일터인데, 기무라 씨는 절대 그렇게 하지 않는다고 한다. 높은 가격에 판매되면 무농약 재배 작물은 부유한 사람들만 먹을 수 있는 ’사치품’이 되고,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특수 재배’라는 단계를 넘어설 수 없다는 것이다. 무농약 무비료 재배 작품이 가격 경쟁력을 가져야 세상 사람들이 그것을 선택할 것이고, 그러면 농가에서도 진지하게 무농약 무비료 농작물을 지배할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기무라 씨의 설명이고, 그렇게 되는 것이 꿈이다.

농약을 쓰지 않고 사과를 키우는 방법을 연구하느라 이가 몽땅 빠져 버린 얼굴로 사람 좋은 웃음을 웃고 있는 이 농부 할아버지는 자신의 사과 재배법을 전매특허로 만들지도 않고, 적어도 누구나 살 수 있는 가격에 자신의 사과를 판매하며 여전히 소박하게 살고 있다고 한다. 

휴가철이다. 어느 때부터인가 우리는 자연을 삶의 터전이 아니라, 유희의 대상으로 만들어놓고 며칠의 휴가를 즐기기 위해 나머지 날들을 살고 있는 듯하다. ’엿새’ 동안 열심히 파괴를 일삼다가 ’하루’ 신나게 자연에서 놀며, 결국 자연을 ’소비’하는 삶을 사는 우리들. <기적의 사과>를 일궈낸 한 농부의 삶과 철학은 미친 듯이 자연의 생명력을 파괴하며 사는 우리를 멈춰 서게 한다. 끝을 모르는 이윤추구의 욕망, 한계를 모르는 소비생활, 편리한 것에 집착하는 우리의 태도에 빨간불을 켜준다. 다시 생각한다. ’농약을 쓰지 않고 사과 키우기’가 전부를 걸만큼 가치 있는 일이었을까? 나는 이렇게 대답하고 싶다. 그것은 이 땅을 살리고, 자연을 살리고, 생명을 살리는 그 무엇보다 가치 있는 위대함이라고! 창조주의 마음과 손길을 지닌 한 농부의 ’위대한 삶’에 무한한 경의를 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